세계 벤처투자 10년 만에 최대 위축, 국내 시장도 ‘싸늘’
미국발 투자심리 위축, 글로벌 벤처투자도 냉랭해 3분기 유니콘 탄생 25건에 그쳐, 스케일업 단계 스타트업 ‘난항’ 불경기 특화 서비스 관심 급증, 영업이익 확인 후 투자하는 성향 짙어져
벤처업계에 혹독한 겨울이 찾아왔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금융 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벤처캐피털(VC)이나 사모펀드(PE) 등 투자가들이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 3분기 세계 벤처투자 규모는 1,000억 달러 이하로 하락하며 9분기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투자액 분기 감소율은 직전 분기 대비 34%로 10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뛰었다. 금리 인상 및 경기 불안 등 악재와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투자 규모는 좀처럼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세계 벤처투자 전반 위축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츠에 따르면, 3분기 세계 벤처시장 투자 자금은 745억달러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1,782억 달러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올해 들어 1분기 1,421억 달러, 2분기 1,126억 달러, 3분기 745억 달러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특히 3분기에는 투자 자금이 직전 분기보다 무려 34%나 감소하며 10년 만에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투자 정점과 비교하면 무려 58% 감소한 수준이다. 냉랭한 시장 분위기가 수치에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3분기 투자 총건수는 총 7,936건으로 2분기 8,771건 대비 10% 줄었다. 투자 건수 감소 비율 대비 투자 금액 감소 비율이 훨씬 크게 나타난 것은 특히 스케일업 단계에 있는 벤처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CB인사이츠는 “3분기에 1억 달러 이상 메가라운드는 296억 달러로, 최근 9분기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면서 “전 분기 대비로는 44% 줄었다”고 분석했다.
투자가 위축되며 기업 성장세 역시 크게 꺾였다. 3분기에 탄생한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은 25개로, 지난 2020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산업 분야별로는 핀테크, 유통, 디지털 헬스 등 그동안 투자가 집중되었던 분야가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도 벤처투자 투자 흐름 막혔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세계 시장은 올해 초부터 투자가 감소했으나, 국내는 상반기까지 양호한 투자 흐름이 이어지다 하반기 들어 하락 전환했다.
20일 국내 스타트업 민관협력 네트워크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지난 9월 국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금액은 3,816억원으로 나타났다. 월 기준 투자유치 금액이 5,000억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올해 들어 최초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69억원(39%), 전달인 8월 대비 4,812억원(56%) 감소한 수준이다.
특히 중대형 투자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00억원 이상 투자는 지난 8월 7건에서 지난달 1건으로 크게 줄었고, 100억원 이상 투자는 17건에 불과했다. 반면 10억원 이상 투자는 25건, 10억원 미만 및 비공개 투자는 80건으로 대다수 비중을 차지했다. 투자 혹한기에 진행된 벤처투자 중에서도 대부분이 초기 투자였던 셈이다.
미국발 투자심리 위축, 벤처기업들에도 찬바람
강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창업벤처연구실장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며 국제적인 유동성이 감소했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보수적으로 접근해 성장성보다는 수익성을 보기 시작했다”며 “투자자 입장에선 예금만 해도 금리가 높아 굳이 모험자본에 투자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하며 국내 대다수 스타트업의 경영 환경이 지난해 대비 악화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최근 국내 스타트업 250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스타트업 애로 현황 및 정책과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9.2%가 지난해 대비 올해 경영 여건이 한층 어렵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심리 악화’와 ‘코로나 등에 따른 내수시장 부진’ 등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한 스타트업 대표는 “최근 투자시장이 급격히 악화하며 우리와 같이 성장해야 하는 스타트업이 힘든 시기에 놓였다”며 “스타트업은 그 어느 때보다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도 “고금리로 투자유치와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회원사들 사이에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전체적으로 투자금 자체가 감소해 스타트업 대다수는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성장주 외면, 불경기 최적화된 배당주에 관심 증폭
벤처기업 관계자들은 작년 상장한 카카오 그룹사들의 주가 폭락, 하이브, 크래프톤 등 대형주들의 동반 폭락, 이어 상장 단계에서 이미 제동이 걸렸던 쏘카, 상장을 고민하는 컬리 등등의 성장주들의 몰락을 시장 심리 변화로 해석한다. 향후 몇 년간은 성장주들이 빛을 보는 시기가 아니라는 판단 아래, 불경기에 최적화된 배당주에 관심이 증폭되는 것이다.
속칭 ‘불경기 특화 서비스(Recession proof)’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심화했다. 지난 몇 년 사이 투자사들은 매출액이 있는지를 따지는 것뿐만 아니라, 영업이익이 나는지를 따진 다음 투자하는 성향이 짙어졌다. 쏘카와 컬리가 시장의 외면을 받는 것도 업력이 수년간 쌓이면서 매출액이 크게 성장한 만큼, 영업이익이 날 가능성이 보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다수인 탓에 성장주들이 미래 영업이익을 위해 오늘의 이익을 포기하는 것이 좋게만 보이지 않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성장주들이 너무 올랐다. 거품이 빠지는 시기라고 생각해야지, 무조건 벤처투자 외면은 아니다”라고 답변하며 벤처시장 침체를 지나치게 과대포장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