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OTT 총결산-상반기①] 한계 봉착한 OTT 업계, ‘생존’ 위한 경쟁

2023 상반기 OTT 업계 이슈 계속되는 성장 침체 속 더욱 치열해지는 OTT 경쟁 수익성 개선 위한 다양한 시도, 활로 모색

160X600_GIAI_AIDSNote

2023년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업계 키워드는 ‘생존’이다. 올해 상반기 국내외 OTT 업계는 계속되는 시장의 침체 속에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다방면으로 모색하며 수익 개선의 활로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지난해 유료 광고 요금제 도입 후 소정의 성과를 거둔 넷플릭스는 더욱 적극적인 수익 개선을 위해 계정 공유 금지 시행 카드를 꺼내 들었다. 또한 K-콘텐츠 제작에 3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혀 우려와 기대를 동시에 불러왔다.

 

국내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이 계속됐다. 정부는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OTT 콘텐츠 제작 지원 투자에 힘을 쏟았고, OTT 자체 등급 분류제 시행을 통해 적시성이 중요한 OTT 사업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했다. 전 세계를 강타한 팬데믹과 함께 급격한 성장을 이뤘던 지난날의 영광을 뒤로 하고 성장 침체기를 맞이한 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지난 6개월간 OTT 업계의 이슈를 살펴보고 올해 상반기를 빛낸 작품 BEST3와 배우를 선정해 활약상을 되짚어 본다.

사진=넷플릭스

상반기(1~6월) OTT 업계 이슈

◆ 넷플릭스 K-콘텐츠에 3조원 규모 투자 계획 밝혀
넷플릭스의 공동 대표(CEO) 테드 서랜도스는 지난 4월 “K-콘텐츠에 4년간 약 25억 달러(3조 3,0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공룡 OTT 넷플릭스의 투자 계획은 한국 OTT 시장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낳았다. 갈수록 높아지는 K-콘텐츠의 위상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의견과 IP(지식 재산권)를 내어주고 제작만 하는 콘텐츠 하청공장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엇갈리는 평가가 공존했다.

일반적으로 넷플릭스가 제작비를 지원하면 IP와 판권이 넷플릭스에 귀속되고, 콘텐츠를 통한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불가능하다. 또한 넷플릭스의 대규모 자본에 의지하는 구조는 과거 중국 자본에 의지해 제작되던 콘텐츠들이 ‘한한령’으로 위기를 맞이했던 때와 같이 국내 콘텐츠 시장의 위험 요소로 작용할 확률이 높다.

글로벌 OTT 플랫폼 넷플릭스의 막대한 투자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 전문가들은 IP 협상력 증진과 함께 IP 우선 확보, 한국 상황에 맞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 등이 동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OTT 콘텐츠 제작 지원 확대
올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오징어 게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를 이을 OTT 콘텐츠 제작 지원에 힘을 쏟았다. 정부는 ‘OTT 특화콘텐츠 제작 사업’ 예산을 작년 116억원에서 올해 454억원으로 증액, ‘킬러 콘텐츠’ 제작을 위한 투자에 돌입했고 작품 지원 단가도 최대 30억원으로 상향했다.

K-콘텐츠의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했다. 티빙과 웨이브 등 토종 OTT 플랫폼들이 글로벌 경제 침체로 적자를 감수하고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잠재력 높은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은 것.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K-콘텐츠 산업 지난해 수출액은 130억 달러(약 17조495억원)에 이른다. 한국 대표 수출 상품인 가전제품의 수출액을 능가하는 수치”라고 밝히며 K-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하지만 치솟는 제작비와 점점 더 가열되는 경쟁을 토종 OTT가 버텨내기엔 역부족이다. 풍부한 자본을 바탕으로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는 글로벌 OTT 콘텐츠에 비해 국내 자본은 턱없이 부족하고, 이는 결국 흥행 실패로 이어져 관객과 제작 인력 모두 글로벌 OTT에 뺏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이유다.

◆ OTT 자체등급분류제 시행
지난 5월 31일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왓챠, 웨이브, 쿠팡플레이, 티빙 등 국내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7개사가 첫 번째 자체 등급 분류사업자로 지정됐다. 적시성이 중요한 OTT 콘텐츠가 제때에 맞춰 시청자들을 만날 수 있게 된 것. 자체등급분류제 시행으로 최장 14일의 심의 소요 기간이 없어지고 사업자가 원하는 시기에 등급 분류를 할 수 있게 됐다.

다만 누구보다 OTT 영상물 시청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콘텐츠가 발견될 시 빠른 조치를 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이에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지난 5월 25일 ‘자체등급 분류 모니터링단’을 출범시켜 위법 사항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고, 내년 1월 자체 등급 분류 업무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여 제도의 안정화를 위해 만전을 기울일 예정이다.

자체등급분류제 시행이 OTT 시장의 활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자체등급분류제가 청소년 및 이용자 보호에 대한 우려를 씻어내고 시장의 활성화를 이뤄내는 등 OTT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시행 및 유료 광고제 도입
세계 최대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는 지난 2월 스페인, 뉴질랜드, 캐나다, 포르투갈 4개국에서 계정 공유 유료화를 시작한 데 이어 지난 5월 23일(현지 시각)에는 미국 넷플릭스 이용자에게도 계정 공유 금지를 시행했다. 이제 가족 구성원이 아닌 사람과 계정을 공유할 경우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치는 수익 개선을 위한 방침이다. 지난해 말부터 넷플릭스는 또 다른 수익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해 성장 정체기 속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어느 정도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흐름 속 디즈니+도 넷플릭스와 함께 광고 요금제를 출시하며 100여개의 광고주와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OTT 시장의 성장 정체기는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한국 넷플릭스 또한 계정 공유 금지 시행을 준비 중이지만, 이용자들의 거센 반발로 눈치만 보고 있다. 좀처럼 확실한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과연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카드가 추후 OTT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이목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