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케어] 고령사회에 떠오르는 실버산업 ③ 관련 전공의 등장
노령 인구 증가에 국내외 실버 비즈니스 관련 학과도 등장 간호분야에 국한된 케어X 전문 호텔경영인도 뛰어드는 시니어 ‘종합’ 케어 국가가 공인하는 ‘전문’ 시니어케어 인력 필요
지난 3월 행정안전부에서 국내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전체 인구의 약 18%를 차지한단 통계가 발표됐다. 국제연합(UN)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20%를 차지할 때 ‘초고령 사회‘ 또는 ‘후기 고령사회(Post-aged Society)’로 구분된다. 즉 우리 사회가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둔 셈이다. 이에 늘어나는 고령 인구만큼 시니어케어와 관련된 직업군과 서비스가 부상함에 따라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에 시니어케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공과목도 각광받는 추세다.
시니어케어 전문가 양성하는 대학원들
지난 2019년 통계청이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040년 33.9%로 증가하며, 2045년에는 37%로 세계 1위 노인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 인구 비중이 증가하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케어 서비스 등 관련 비즈니스도 부상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 시니어케어 산업이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 168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내 각 대학·대학원에서는 이를 대비해 시니어케어 관련 전공을 개설하고, 노인복지 수준을 포함해 실버 계층 시장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이론에 근거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 국내 최초의 시니어케어 관련 전공은 지난 2003년 숙명여자대학원에 개설된 ‘실버비즈니스학과’다. 커리큘럼에는 실버마케팅, 실버소비자행동, 실버주거산업, 실버금융산업 등이 포함돼 있다.
또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은 ‘시니어헬스케어학과’를 개설해 시니어 헬스케어를 위한 진단시스템 구축 및 건강 개선 기능성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한 석사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학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강남대학교는 지난 2006년 국내 최초로 4년제 대학 내 ‘실버 산업학과’ 학사과정을 신설하고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각광받는 시니어케어, 간호 넘어선 케어 전문성 요구도
이같은 흐름은 해외에서도 관측됐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보스턴 대학교 호텔경영대학원은 지난 2021년 노인 생활을 도울 수 있는 시니어리빙(Senior Living) 석사 프로그램을 부설했다. 해당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수강생들은 수익 관리 및 분석, 부동산, 디지털 마케팅 등 일반 경영학 이론과 노인 생활 및 장기 요양 산업에서의 관리, 노인 시장의 이해 등의 복지 이론 등을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시니어리빙 프로그램의 학장을 맡은 아룬 우프네자(Arun Upneja) 박사는 “보스턴 대학의 시니어리빙 프로그램은 노인들을 효과적으로 돌보는 분야”라며 “간호 및 모니터링 등의 전통적 케어 방식을 넘어 다양한 노인 생활 커뮤니티를 꾸릴 수 있도록 폭넓은 과목을 수강한다”고 소개했다. 즉 ‘시니어 종합 케어’를 추구하는 셈이다.
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바텔대학원이나 스위스에 자리한 크란스-몬태나(Crans-Montana)대학원 등 호텔 경영대학원을 운영하는 해외 대학원들도 노년층을 위한 요양원 관리 등의 과정을 기존 호텔 경영학 과정의 세부 전공으로 추가했다.
관련 전공도 신설되고 있다.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아이스텍(istec)대학원은 ‘건강관리&실버경제전공’이라는 석사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커리큘럼에는 실버 경제 시장, 실버 마케팅 문제, 실버 세대의 이해 등이 포함돼 있으며, 고령 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연구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 이스라엘 레이치맨(Reichman)대학원과 미국 와이드너(Widene)대학원 역시 헬스케어 분야 혁신 및 의료 관리를 위한 석사 과정을 선보인 바 있다.
이와 더불어 관련 일자리도 늘어나는 추세다. 해외 채용공고 시스템인 ‘인디드’에서 시니어케어 관련 직종을 검색하자 약 1,000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검색 결과로 나왔다. 직종도 확장되고 있다. 인디드에서 채용공고 기준을 호텔 경영학 석사(mba hospitality)로 두고 검색하면 요양원 관리, 호스피스 병동 관리, 헬스케어 매니지먼트, 개인 비서 등 다양한 직종의 일자리가 검색된다. 시장이 간호를 넘어서 ‘전문 비서’ 격의 케어 인력을 요구하는 셈이다.
시니어케어 전문성 확대 시급
우리나라에서도 시니어케어를 전담할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올해 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노인 돌봄 인력이 가장 부족한 국가로 한국을 꼽으며, 2040년까지 해당 인력을 140% 이상 충원해야 한다고 조언한 바 있다. 다만 무분별한 충원이 이뤄져선 안 된단 지적도 나온다. 석승한 대한노인신경의학회 회장은 “노인 돌봄은 재정과 정서적 지원이 통합적으로 세심하게 관리돼야 하는 영역”이라며 “돌봄 제공자의 질적인 측면을 끌어올릴 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국내 노인 돌봄 제공자의 70~80%는 가족 구성원이며, 나머지는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이 도맡고 있다. 문제는 간병인의 경우 국가공인 자격제도에 포함되지 않으며, 국가공인 자격으로 운영되는 요양보호사 역시 240시간의 교육시간만 충족한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누구나 쉽게’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석 회장은 “이들의 전문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노인 돌봄이 제1 직업군으로 성장할 수 없을뿐더러 사회적으로 전문직이라는 인식도 떨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꼬집으며 “간호조무사, 2급 사회복지사들에게 일정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 시험을 치른 뒤, 케어가 필요한 환자에 간단한 의료적 처치 및 상태에 따른 분류 작업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국가적으로 케어매니저 시스템을 만들어 이들이 자체적으로 커리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니어케어가 돌봄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고령 사회의 도래를 대비해 다양한 노인층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전문가를 배출해 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령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만큼 시니어케어 관련 자격제도 강화, 전문직 일자리 양성 등 시급한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