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구직자 10명 중 7명 “지방 취업 의향 없다” 단, 연봉 높으면 지방 취업도 고려 대상

‘부족한 일자리, 일자리 부족, 임금 격차’ 등 지방 취업 기피 사유 비슷해 연봉 높다면 지방 취업할 의향이 있다는 구직자도 있어, 단 ‘충남권’이 마지노선 향후 경기 침체 여부에 따라 ‘지역 간 취업 격차 및 청년 고용률’ 확대될 우려도

160X600_GIAI_AIDSNote
수도권 주요 대학 출신 20대 구직자 1,743명을 대상으로 ‘지방 취업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출처=진학사 캐치

수도권 주요 대학 출신 취업자 10명 중 7명은 지방 소재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 취업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일자리 부족, 임금 격차, 출퇴근 거리,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교통 및 인프라 등이 꼽혔다. 일각에선 지방 대학 출신자들의 수도권 취업 비중마저 높아지는 추세임을 고려할 때 당연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진학사 캐치, 수도권 구직자 1,743명 대상 조사

22일 채용 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수도권 주요 대학 출신 20대 구직자 1,743명을 대상으로 ‘지방 취업 선호도’에 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0%가 ‘지방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지방 취업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30%에 불과했다.

지방 취업을 꺼리는 이유로는 ‘타지 생활이 어려울 것 같아서'(59%)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부족할 것 같아서'(25%), ‘원하는 기업 또는 일자리가 부족해서'(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지방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취업을 원하는 기업이 지방에 위치해 있어서’가 36%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집값, 물가가 저렴할 것 같아서’가 33%, ‘원하는 기업 또는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9%로 나타났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장은 “지방 취업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구직자가 무조건 기피한다고 보기보다는 근무환경, 연봉 등 조건이 맞는 기업을 찾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구직자 59% “직장 거리보단 기업 규모나 연봉이 더 중요

취업자들은 기업 선택에 있어 직장의 거리도 중요하지만, 기업 규모나 연봉을 더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선 캐치 설문조사에서 ‘지방의 대기업과 서울의 중소기업에 모두 합격했다면 어떤 기업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추가 조사한 결과 ‘지방 대기업’을 택한 응답자가 59%로 높게 나타났다.

추가로 연봉을 높여준다면 지방에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도 있었다. ‘8,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0%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5,000만원 이상 6,000만원 미만’이 21%, ‘4,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이16%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취업준비생 3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다. 조사 결과 비수도권 취업을 고려하는 응답자의 대다수가 다른 비수도권 지역보다 평균 연봉이 높은 대전·세종 등 충남권을 취업 대상지의 심리적 한계선으로 여기고 있음이 드러났다. 실제로 지난해 서울과 경기, 세종의 평균 연봉이 4,000만원대로 집계된 반면, 예외적으로 울산을 뺀 나머지 지방은 모두 3,000만원대에 그쳤다.

2021년 5월부터 올해 6월까지 청년(15~29세) 인구 및 고용 증감 추이/출처=통계청

‘지방대 졸업생’이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추세 더 강해져

지방 대학 출신자들의 수도권 취업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를 고려할 때 수도권 주요 대학 출신자들의 지방 취업 의향이 적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여기에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조차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0월 인구보건복지협회(이하 인구협회)가 전국 대학 졸업생 3,0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 졸업생 중 수도권에 취업한 비율은 90.2%였다. 반면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 중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이동한 비율은 25.4%에 달했다. 지방에서 대학을 다닌 청년들조차도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상당수 이동한 셈이다.

졸업대학 소재지에 따른 취업여부 조사 결과에서는 수도권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이 80.3%로 집계된 반면,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은 70.2%를 기록했다. 여기에 최근 3년간(2017~2019)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취업률 격차마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률이 낮아질수록 이들 대학에 대한 저평가는 물론 기피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 이는 결국 해당 지역에 대한 기피로까지 번질 우려가 있다. 인구협회 관계자는 “지역의 매력을 발굴하고 지방소멸 등 인구문제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기 위한 정책 논의가 활발하게 마련돼야 한다”며 “비수도권의 청년인구 유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성장 국면 장기화가 지역 간 취업 격차에 결정적 요소될 듯

경기 침체를 동반한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면서 수도권으로 모인 청년들의 일자리 수요를 소화할 기업의 여력도 줄어드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지방을 떠난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건의 수도권 일자리를 택하는 대신 경제 활동을 포기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3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5~29세의 청년층 고용률 47.0%로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인구 감소 폭이 역대 최대였던 1년 전에도 청년인구가 21만1,000명 줄어든 반면, 오히려 취업자는 8만1,000명 늘어나기도 했다.

앞선 조사 결과에 의하면 경기 침체가 인구감소보다 청년 고용률 악화에 더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취업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비경제활동 청년의 숫자마저 2년 연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떠난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 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