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 블록체인 통합’ 현실로, 시총 1.5조 K-코인이 일궈낼 미래 코인 시장은
손잡은 네카오, 한국 최대 규모 블록체인 플랫폼 탄생 불안정성 위기 아래 침체기 접어든 암호화폐 시장, 결합이 동력 되살릴까 '쌍끌이 전략' 시사한 네카오, 오르내리는 비트코인 사이 안정 찾을 수 있나
한국 최대 규모 블록체인 플랫폼이 탄생했다. 네이버 관계사인 라인과 카카오가 각각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의 통합을 결정하면서다. 두 플랫폼이 통합하면 시가총액 기준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출범하게 된다. 시장 활용성에 대한 고려 없이 ‘돈 놓고 돈 먹는’ 수단으로 전락한 블록체인이 대기업의 손 아래 변화의 바람을 맞을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클레이튼-핀시아 통합 결정, 찬성 90% 이상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클레이튼재단과 핀시아재단은 핀시아·클레이튼 네트워크 통합 안건이 이해관계자 투표를 통과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찬성표는 클레이튼에서 90%, 핀시아에서 95%가 나왔다. 당초 지난달 10일 통합을 막 발표했을 땐 암호화폐 교환비를 문제 삼은 투자자의 반발이 거셌지만, 결국 압도적인 찬성으로 투표가 마무리된 모양새다. 핀시아는 네이버 관계사인 라인이, 클레이튼은 카카오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지금은 두 플랫폼 모두 카카오와 라인이 아니라 자체 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통합은 아시아 블록체인 시장의 ‘빅딜’이다. 클레이튼은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핀시아는 아시아 최대 대체불가능토큰(NFT)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강과 강이 만나 통합을 이루면서 업계에선 “아시아 블록체인 시장에 폭넓은 영향력을 미칠 만한 국산 암호화폐가 등장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샘솟는다. 양측 재단 또한 “이번 통합으로 45개 회원사, 420개 서비스를 거느리는 대형 아시아 블록체인 생태계가 등장할 것”이라며 한껏 기대감을 내비쳤다. “아시아 블록체인 생태계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이 2억5,000만 명에 달할 것”이라며 압도적인 접근성을 피력하기도 했다.
침몰하는 블록체인, 꺼져가는 코인 ‘동력’
내로라할 네카오가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을 선택한 건 블록체인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 탓이 크다. 지난 2018년 첫 출시된 두 플랫폼은 2021년 2분기 이후 암호화폐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며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었다. 클레이튼 암호화폐 가격은 2021년 3월 4,800원을 돌파했지만 이달 들어선 16분의 1인 300원대까지 추락했다. 핀시아 또한 동기간 36만원대에서 9분의 1 수준인 4만원대로 쪼그라들었다. 아시아 시장이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액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이 지역 화폐가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에 불과하단 점도 통합에 영향을 미쳤다.
다만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으로 침체기를 벗어날 만한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냐는 물음엔 물음표가 따라붙는다. 애초 블록체인 시장의 침몰은 ‘돈 놓고 돈 먹기’식 투기 자본으로 전락한 배경 때문이지 다른 내부적 상황과는 큰 연관이 없다시피 하다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평가기 때문이다. 유수의 기업인 네카오의 결합으로 한순간 주목은 받을 수 있을지언정 실질적인 위기 돌파는 사실상 힘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그나마 희소식은 지난 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장을 승인했다는 점이다. ETF란 투자자가 직접 매수하지 않고도 여러 자산에 베팅할 수 있는 펀드로,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전체 포트폴리오의 실시간 성과에 따라 그 가격이 달라지는 게 특징이다.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로 암호화폐도 제도권 아래 들어왔다는 환호와 함께 미래 전망에도 분홍빛이 돌기 시작했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의문을 제기한다. 거래 시장 활성화와는 별개로 암호화폐의 시장 활용성이 검증되지 않은 건 여전한 탓이다.
불안정성 높은 암호화폐, 네카오의 전략은
암호화폐에 ‘투기자본’ 이미지가 씌워진 데엔 높은 불안정성도 큰 몫을 차지한다. 실제 암호화폐 대장주라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은 4만2,000달러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월엔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에도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기도 했다. 암호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4만2,000~4만3,000달러 사이에서 오르내리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포브스는 “ETF 낙관론 투자자들이 2024년 금리 인하와 현물 ETF 승인을 예상함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1월 2022년 4월 이후 처음 4만 달러를 넘어섰다”며 “특히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말 암울했던 시기보다 154%나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ETF 낙관론과 차익 실현 매물이 겹치며 가격 급등이 이뤄졌다는 설명이지만, 여전히 불안정성은 높다. QCP캐피탈은 “비트코인 현물 ETF의 실제 수요는 초기에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 같다”며 “비트코인 저항선은 4만5,000~4만8,500달러가 될 것이며 비트코인이 오르기 전에 3만6,000달러까지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등락 폭 자체가 주식에 비견할 바조차 안 되는 셈이다.
이처럼 변동성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서도 네카오 블록체인 플랫폼은 우선 결합을 통해 ‘쌍끌이 전략’을 가시권에 놓겠단 방침이다. 핀시아재단은 최근 홀더를 대상으로 한 오프라인 밋업에서 웹3 기반의 블록체인 게임으로 대중 수요 기반의 자본을 유입하겠다는 복안을 밝혔다. 웹2 기반의 기성 게임사가 웹3을 채택해 유저들에게 아이템 소유권을 주고 통합 토큰인 프로젝트드래곤(PDT)으로 거래하는 그림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클레이튼은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를 유입하는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클레이튼의 경우 이미 퍼블릭 체인으로써 만들어온 파트너십과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커스터디 및 브로커리지를 포함한 인프라를 빠르게 확충해 나갈 수 있는 상황이니만큼 내부적인 기대감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불안정성 위기 등 신뢰도 저하 문제 탓에 블록체인 시장의 미래 전망이 어두운 건 사실이나, 네카오의 결합이 가시화한 만큼 앞으로의 변화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