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낸드 가격 두 자릿수 하락, PC 등 IT기기 수요 부진 탓

160X600_GIAI_AIDSNote
D램 가격 17.1% 급락, 1년 5개월만에 '최대 하락폭'
낸드플래시도 11.4% 하락, 1년 반만에 하락세 전환
4분기 PC 출하량 3.8% 감소, 재고 감축 기조 이어져
dram 20241002

지난달 D램 가격이 1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하는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올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던 스마트폰·PC 등의 수요 부진과 중국의 경기 침체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핵심 수요 품목인 IT기기의 수요 반등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상승세로 전환했던 메모리 가격이 당분간 보합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D램·낸드 가격, 보합세 유지해오다 지난달 급락

1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지난 9월 PC용 D램 범용 제품 DDR4 1Gx8의 평균 고정 거래가격(기업 간 거래 가격)은 1.7달러로 전월(2.05달러) 대비 17.1% 급락했다. 전월 대비 증가율 기준으로는 -19.9%을 기록한 지난해 4월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이다. 2021년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던 D램 가격은 지난해 10월 약 2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지만 올해 8월 하락세로 돌아섰다.

또 다른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플래시의 고정 거래가격 또한 10% 넘게 하락했다.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 128Gb 16Gx8 MLC의 9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4.34달러로 지난달 대비 11.4%나 떨어졌다. 낸드플래시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건 지난해 3월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낸드 가격 또한 지난해 10월 반등한 뒤 줄곧 상승세를 이어오다가 올해 3월부터 상승세가 둔화하며 보합세를 유지해왔다.

메모리 가격의 급락에는 부진한 IT 수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PC 제조사는 아직 IT기기에 대한 수요 반등이 충분치 않다는 점을 반영해 여전히 높은 수준의 재고를 유지하고 있다”며 “4분기 PC 출하량은 직전 분기 대비 3.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당초 예상치인 0.8% 감소에 비해 하향 조정된 수치”라고 설명했다. PC 제조사가 재고 감축을 지속하면서 D램 조달 규모가 더욱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다.

NAND_WDC_TE_20241002

트렌드포스는 4분기 PC용 D램 모듈의 가격 전망을 당초 ‘직전 분기 대비 3~8% 상승’에서 ‘보합세(Flat)’로 하향했다. PC 제조사의 재고 감축 기조, 국내 D램 제조업체들의 점유율 확대 전략 등의 영향으로 DDR4와 DDR5 모두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낸드의 경우 TLC(트리플 레벨 셀) 계약, 현물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10월에도 SLC(싱글)·MLC(멀티) 제품 가격의 연쇄적인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초엔 ‘연말까지 상승세 유지’ 전망 나오기도

올해 초만 해도 반도체 업계에서는 하반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1월 트렌드포스는 “D램과 낸드 가격이 이미 2023년 말부터 인상 조짐이 뚜렷했다”며 “올해 연말까지 가격이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낸드플래시는 1분기 가격이 20% 급등한 이후 2분기부터 연말까지 3~8%대 인상률을 유지하고, D램은 가격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2024년 내내 가격 인상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반도체 반등론이 무색하게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상반기 내내 보합세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메모리 가격이 정체되는 이유는 당초 예상보다 느린 중국 경기 회복 속도가 주 원인으로 꼽았다. 글로벌 전자제품의 60~70%를 제조하는 중국에서 PC, TV,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기기의 수요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이들 전자기기는 D램과 낸드의 핵심 수요 품목이다. 수요는 회복되지 않는 반면, 제조사들의 메모리 재고는 크게 줄지 않아 가격 상승이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의 제조업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달 기준 두 달째 ‘경기 위축’ 수준이다. 현재 한국의 전체 반도체 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7%에 달한다. 또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전 세계 PC 시장에서 저가형 PC 수요가 늘면서 메모리 수익성도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업계에서는 올 하반기에도 스마트폰 등 시장의 수요 개선 폭이 10%포인트 미만으로, 메모리 가격 상승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본다. 당장 3분기부터 가격 오름세가 이뤄지려면 늦어도 2분기부터는 일부 가격 상승 조짐이 있어야 한다는 진단이다.

업황 악화 전망에도 여전한 수요 증명한 반도체

이러한 상황을 두고 시장에서는 반도체 업황 악화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고점을 준비하다(Preparing for a Peak)’라는 제목의 반도체 보고서를 내 ‘반도체 겨울론’에 불을 붙였다. 모건스탠리는 “AI를 둘러싼 흥분 속에서 반도체와 테크 하드웨어의 경기 순환적 특성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며 “메모리 반도체가 수요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고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가 공급 과잉 상태에 도달하면서 반도체 사이클이 고점에 다가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일시적인 가격 하락을 다운사이클 진입 신호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게 제기된다. 실제로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실적 풍향계’로 통하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냈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각) 마이크론은 2024 회계연도 4분기 매출(6~8월)이 시장 전망치인 76억6,000만 달러를 넘어선 77억5,000만 달러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2025 회계연도 1분기(9∼11월) 매출과 주당 순이익은 87억 달러와 1.74달러로 추산하며 시장 평균 예상치 매출 83억2,000만 달러와 주당 순이익 1.52달러를 크게 넘어섰다.

아울러 이날 글로벌 첨단 산업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한국의 수출입 통계에서 견조한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확인됐다는 점도 반도체 낙관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9월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최대인 136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6월 기록한 종전 최고 실적(134억달러)을 3개월 만에 경신한 것으로 11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반도체 종목의 주가를 대표하는 지수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 한 달간 상승 곡선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