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지난 몇 달간 SIAI의 요즘 변화를 멀리 떨어져 지켜보다 보면 내가 얼마나 좁은 시야로 교육 사업을 이끌었는지도 느끼고, 한편으로는 이게 내가 이끌었어야 하는 방식이 아닌 가는 생각, 그리고 내가 Under-institutionalized 였기 때문에 저 친구들에게 많은 피해를 줬겠다는 깨달음도 얻는다.

이 친구들이 SIAI 경영권을 넘겨받고 가장 먼저 서둘렀던 것은 수익화 모델을 체크하는 것이었다.

지난 몇 년간 왜 한국에서 이렇게 황당한 사람들을 많이 겪을까는 의문이 끊이질 않았는데, 최근 2-3년 간 속칭 '후진국' 출신들과 협업하고, SIAI에 '후진국' 출신들이 지원 문의를 보내는 걸 보면서 이제 어느 정도 해답을 얻게 됐다.

요점을 한 줄 요약하면,

사회적 훈련이 안 됐다. (Under-institutionalized)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기사를 보니 한국와서 김치 욕하는 영상을 올린 한 외국인 유튜버를 강제 추방해야 된다고 그래놨군요.

우리나라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인데, 저런 비판도 들어줘야되지 않나는 생각도 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왜 우리가 욕하는 외국인까지 한국에 들어올 수 있도록 허락해줘야 하나, 우리가 그렇게 배알도 없이 사는 나라인가는 생각도 듭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아예 타국 전 대통령에 노벨상 수상자마저도 미국 들어오지 마라며 막아버렸군요.

한편으로는 속이 시원할 겁니다만, 다른 한편으로는 독재 국가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겁니다.

지난 1월부터 수요 조사를 받았던 2025학년도 예비 신입생 보조 교육이 어제(3월 31일)부터 정식으로 시작됐다.

당시 지원 의사를 표현한 분들과 2월에 온라인으로 한번 만났고,

3월 중에 과거 기출문제 풀이를 듣도록 열어주면서, 일종의 예열(Warm-up) 과정을 거치는 중에 2번을 더 만났는데, 역시 예상대로 기출문제 풀이를 보면서 자기들이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AI/Data Science 프로젝트가 얼마나 잘못됐는지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감정을 털어놨다.

80% of Korean students failed at SIAI not due to lack of intelligence but due to deep-rooted cultural conditioning that discourages independent thought and risk-taking
The Confucian, exam-based education system promotes rote memorization over problem-solving, making students struggle in an environment that requires deep, abstract thinking
Korea’s broader economic and corporate structure reinforces a ‘safe thinking’ mindset, making it unlikely that Western-style innovation will thrive here without significant systemic change

Before going into details, pl

지난 글 2개(#1, #2)에서 밝힌대로, 지난 2년 남짓 동안 조직의 글로벌화를 위한 리브랜딩에 굉장히 많은 시간과 자원을 낭비했다. 한국 시장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전체를 버리는 결정이 그 중 가장 내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선택인데,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한 것은 바로 아래 2개의 글로 요약된 내부 보고서다.

Not due to math knowledge, but due to difficulty applying knowledge in real-world scenarios
accustomed to structured learning, struggle more with open-ended, problem-first approaches compared to those trained in Western-style
superficial engagement, reliance on structured guidance, avoidance of ambiguity, and resistance to open-ended problem-solving
Failed in abstraction (encoding) and application (decoding)

Since 2021, the Swiss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I) has refined its approach to teaching AI and data science (DS), learning valuable

AI Bootcamps provide emotional satisfaction but no real AI knowledge.
SIAI’s AI MBA (Business & Tech Tracks) offers real AI project exposure and strategic thinking.
Basic software engineers will be obsolete by 2035, replaced by AI and offshore talent

After launching AI MBA's business track, we sometimes have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the track. Most people, particularly, engineers think that's just a waste of time. Some of them even claim that AI Bootcamp is the better option, as it costs less money.

Over the p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STEM MBAs—business programs that integrate basic AI, analytics, and coding to appeal to professionals interested in tech-driven industries. While these programs may sound promising, in reality, most STEM MBAs provide little more than bootcamp-level technical training, leaving graduates with surface-level AI knowledge and little ability to differentiate real AI innovation from hype.

A recent discussion on GIAI Square brought up concerns about networking opportunities in the SIAI 2.0 AI MBA program. While technical students focus on engineering and quantitative finance, business track students need a different kind of networking—one that connects them to venture capitalists, private equity firms, and AI-driven business leaders.

In a recent discussion on GIAI Square, a student raised concerns about networking opportunities in the SIAI 2.0 AI MBA program, particularly about the strength of the alumni network and its impact on career opportunities post-graduation. As a professor and industry professional, I provided my perspective based on both academic experience and real-world industry exposure.

Unlike typical AI bootcamps, SIAI offers in-depth AI education with a strong foundation in mathematics, statistics, and real-world business applications.
The MSc AI/Data Science program at SIAI emphasizes rigorous scientific studies, ensuring students mast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AI.
SIAI’s MBA AI programs incorporate extensive business case studies, with a new MBA AI/Finance track focusing on corporate finance and financial investments.

SIAI 한국 운영을 지난해부터 단계적으로 접으면서 그간 알게 된 많은 내용들을 유럽 애들과 공유하는 중인데, 괜찮은 분석 하나가 나와서 한국에서도 좀 읽어봤으면 해서 GIAI Korea에도 링크를 걸었다.

핵심 포인트는 수학 실력이라는 기준점이,

  • 아시아: 절차적 유창성 (Procedural fluency)
  • 서구권: 개념적 이해력 (Conceptual understanding)

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Mathematical ability differs across cultures, with Western academia emphasizing abstraction over procedural speed
AI is automating routine calculations, making conceptual thinking more valuable than ever
Future professionals must focus on logical reasoning and model formulation to stay relevant

After years of teaching here at SIAI, we have witnessed a varying cultur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xperts in AI/Data Science in the western hemisphere and in Asia.

위의 공지와 더불어 그간 공개됐던 여러 기고 글을 통해서 알린대로, 글로벌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을 4월부터 개강할 계획으로 준비 중입니다.

공지한대로 오는 3월 20일까지 수요조사를 진행 중인데, 아무래도 제가 직접 운영할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에 관리 및 운영을 맡을 장학생을 선발할까 합니다. 업무 특성상 아래의 역량을 갖춘 분을 찾습니다

실리콘밸리형 인재들은 질문을 하고 싶어서 하는게 아니라, 질문을 해야되는 순간이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에, 이미 N가지 시뮬레이션이 머리 속에서 빠르게 다 돌아갔기 때문에 의뢰인이, 보스가, 대표님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으신지 확인하고 넘어가야 되겠다 싶어서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여기서 더 뛰어난 실리콘밸리형 인재들은 먼저 몇 가지 해답을 찾아서 질문을 던지고, 미리부터 어떤 대답이 나오건 상관없이 해놔야 되는 일들을 준비한다.
더 이상 한국 시장에 자원을 낭비하지 말자는 결정도 났고, 학위 과정을 'The most rigorous MBA in the world'라고 마케팅할 수 있는 역량까지 갖춘만큼, 학위 과정 가격도 유럽에서 고급 교육을 지향하는 기관 수준으로 정상화해야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기업 네트워킹을 할 때도 학위 과정 가격이 저렴하면 우리 교육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주의도 받았다.

학부 4학년 때의 일이다.

외국에서 오래 살다와서 한국식 교육을 매우 싫어하던 과 친구 하나가 인문대 쪽에서 내려오고 있더라.

영미 문학과 관련된 영어영문학과 고학년 전공 수업을 교양 삼아 하나 듣는데, 셰익스피어의 어느 구절을 이상하게 해석하는 교수를 보면서 짜증이 나서 좀 빨리 나왔단다. 문장 하나와 앞 뒤 맥락을 설명하면서 특정 단어를 영어 사전을 보고 해석한 탓에 내용 전체를 왜곡하게 됐다면서, 중세 영국인들이 그 단어를 그렇게 썼을리가 없을텐데 역사나 문화적 맥락을 하나도 고려 안 하는 수업을 들으니 재미가 없다는 불평을 잠깐 늘어놨다.

나중에 영어영문학과 친구를 만나서 그 날 들은 이야기를 해 줬더니, 교수님의 해석을 무시하는 발언과 생각지도 못했던 관점에 당황했다면서 눈을 동그랗게 떴었다. 결국 영어영문학으로 박사 유학을 갔던 친구인데, 덕분에 역사, 문화적 맥락을 항상 한번 더 생각하게 됐던 대화였다면서 그 이후로 2-3번 만날 때마다 그 날 대화를 꺼내곤 했었다. 난 기억도 흐릿해졌구만.

말을 바꾸면, AI 부트캠프가 사기 교육이나 다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던 내가 매우 어리석었다는 뜻이다. 미국 대학들처럼 양면 전략을 써서 돈은 돈 대로 벌고, 다른 한 쪽에서는 학교 명성을 챙기는 이중 전략을 썼어야 하는데, 난 너무 순진했다.
AI 교육 한다며 코딩 교육을 포장했던 IT학원들 모두가, 더 멀리 나아가서는 그 수혜를 수학&통계학 역량이라는 자격 없이 독점했던 국내 대학 컴퓨터 공학과 교수들 대부분이 모두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 당신들의 주머니로 들어간 그 돈의 상당액이 국민의 피땀 어린 세금이었기 때문이다. 당신들이 그 엄청난 예산을 써 놓고도 AI후진국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