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 탈환, 다시 애플 제쳤다

160X600_GIAI_AIDSNote
삼성전자 점유율 20.8%로 1위, 17.3% 기록한 애플과 격차
애플, 1분기 아이폰 출하량 9.6% 감소, 삼성에 1위 자리 내줘
고군분투에도 中 토종기업 강세에 고전 면치 못하는 애플
IDC_SAMSUNG_20240416
최근 분기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출처=IDC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제치고 2개 분기 만에 선두를 탈환했다. 지난 1월 출시한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삼성은 점유율을 지킨 반면, 애플은 중국에서 부진으로 점유율이 추락했다. 삼성과 애플의 뒤로는 샤오미, 트랜션, 오포 등 중국 제조사들이 3∼5위에 각각 올랐다.

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1위’ 탈환

15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024년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6,010만 대로 20.8%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애플은 17.3%(5,010만 대)로, 지난해 4분기 차지했던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를 지키는 데 실패했다. 지난해 4분기 점유율은 애플이 24.7%, 삼성전자가 16.3%였다. 1분기 삼성전자와 애플 격차는 3.5%포인트로, 지난해 1분기 1.8%포인트(삼성전자 22.5%·애플 20.7%)에 비해 두 배로 확대됐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말 출시한 갤럭시S24 시리즈가 갤럭시AI 등 핵심기능이 호평을 받으며, 양호한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애플은 지난해 4분기 아이폰15 시리즈 출시 후 신제품 효과가 반감됐다. 여기에 중국 시장 부진과 미국 정부의 반독점 소송 제기 등 악재도 겹쳤다. 이에 애플의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작년 1분기보다 9.6% 감소했다. 한편 삼성전자와 애플 뒤를 이어 샤오미(14.1%), 트랜션(9.9%), 오포(8.7%) 등 중국 제조사들이 각각 3∼5위에 자리했다. 올해 1분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2억8,940만 대로 지난해 1분기보다 7.8%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순위와 관련해 IDC는 지난 2년간 부진했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3분기 연속 성장으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평가했다. 나빌라 포팔 IDC 리서치국장은 “톱5 기업들 사이에서 판도 변화가 있었고 당분간 (현재 순위가) 계속될 것 같다”며 “샤오미와 트랜션이 급성장했으나, 삼성전자는 지난 몇 분기보다 견고한 위치에 올라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시장서 내리막길 걷는 애플, 중국 소비자 잡기에 총력

삼성전자와 애플이 글로벌 시장 점유율 1, 2위 자리를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의 중국 시장 수성은 점점 어려워 보인다. 중국 토종업체들이 무서운 기세로 시장을 넓히며 이들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샤오미는 1분기 출하 대수가 4,08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33.8% 급증했다. 시장점유율도 11.4%에서 14.1%로 높아졌다. 중국 트랜션의 경우 출하 증가 속도가 더욱 가파르다. 트랜션은 올 1분기 출하 대수가 2,850만 대로 1년 전보다 무려 84.9% 폭증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사실상 이제 중국 시장을 포기했지만 애플은 그렇지 않다. 애플에 있어 중국 시장은 미국, 유럽에 이은 3위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애플은 중국에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에 대한 여파로 1회계분기 아이폰 매출은 13% 급감했고, 2회계분기에도 매출 감소세가 지속됐을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최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찾아 친중 행보를 보이는 것도 아이폰 판매 부진과 연관돼 있다. 쿡 CEO는 지난달 25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에 참석해 “중국과 중국인을 사랑한다. 다시 중국에 돌아오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애플은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연내 확장현실(XR) 기기인 ‘비전 프로’를 중국에 출시할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mate60pro_20240416
화웨이 메이트 60 프로/사진=화웨이

‘애국주의’ 바탕의 중국 토종 기업들의 호조세

실제로 최근 들어 애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심상치 않은 모양새다. 특히 화웨이는 중국 기술 굴기의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해 8월 내놓은 메이트 60프로를 공개하자마자 세간의 집중을 받았다. 미국이 고성능 반도체 수출을 통제하면서 5G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을 빚었지만, 자체 개발한 기린9000s AP를 장착한 메이트 60프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 복귀했기 때문이다.

제재를 뚫고 진보한 기술력을 선보인 화웨이의 서사에 중국 소비자들은 열광했다. 이른바 애국주의 소비 열풍의 중심에 서며 해당 모델은 화웨이의 실적을 주도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2월 발표에 따르면 화웨이는 올해 첫 2주 동안 중국 시장에서 스마트폰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화웨이가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한 건 4년 만에 처음이다.

메이트60프로의 매출 호조는 화웨이의 실적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화웨이의 실적 발표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 7,042억 위안(약 135조원), 순수익 870억 위안을 기록했다. 순수익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매출은 10%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당시 중국 언론들은 ‘왕자(王者)가 돌아왔다’는 표현으로 화웨이의 깜짝 1위 등극 소식을 전했다. 재경망은 “화웨이의 강력한 복귀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 판도가 바뀌고 있다”면서 “지난해 메이트60 시리즈 발표 이후 진행 중인 시장 복귀 계획이 계속 진행되면 화웨이는 올해 다시 왕자로 돌아올 것”이라고 보도했다. 증권일보는 “화웨이의 강력한 복귀와 많은 국산 브랜드의 프리미엄 시장 공략으로 올해 스마트폰 시장이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며 “애플은 화웨이 등 중국 브랜드에 시장 점유율을 잠식당하기 시작했다”고 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