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에 박차 가하는 LS이링크, 만연한 ‘전기차 포비아’ 이겨낼 수 있을까

160X600_GIAI_AIDSNote
IPO 속도 내는 LS이링크,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벤츠 전기차 화재'에서 출발한 전기차 포비아, IPO 악재 될까
테슬라, 자사 전기 트럭 화재 사고 이후 주가 5% 미끄러져
LS이링크 실적 추이

LS의 전기자동차(EV) 충전소 계열사인 LS이링크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했다. 실적 성장세를 발판 삼아 국내 증시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최근 확산하는 ‘전기차 포비아(공포)’ 현상 등 일부 악재가 LS이링크의 상장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코스닥 도전장 내민 LS이링크

22일 LS이링크는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 상장 주관회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다. LS이링크는 지난 2022년 LS와 E1의 공동 투자로 설립됐으며,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대형 운수·화물 등 기업(B2B) 고객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LS이링크는 사업 초기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과 B2B(기업간거래) 파트너십 구축에 힘을 쏟아 설립 2년 만에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 국내 충전사업자(CPO) 중 유일한 흑자 달성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LS이링크는 지난해 매출 280억원, 영업이익 13억원을 기록했고, 올해 반기 누적 매출액은 195억원, 영업이익 22억원 수준이다. 지난해의 실적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향후 LS이링크는 대용량 전력 인프라 분야에서 쌓은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사업 확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북미 대형 트럭 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외 전기 차량 충전 사업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항만 무인이송장비(AGV) △전기추진 선박 등 B2B EV충전 시장과 유사한 미래 모빌리티 충전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도 꾀하고 있다. 차후 상장을 통해 유입된 재원 역시 기술력 강화와 수출 사업 진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대근 LS이링크 대표이사는 “LS이링크는 사용자 환경에 맞춘 체계적인 B2B 충전 솔루션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IPO(기업공개)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전기차량 충전 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포비아’의 확산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LS이링크의 IPO가 순항할 수만은 없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1일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전기차 시장 전반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화재 사고로 인해 연기를 마신 주민 23명이 치료를 받았고, 880대의 차량이 전소되거나 그을렸다. 화염으로 인해 지하 공간의 내부 온도가 치솟으며 지하에 설치된 수도관, 각종 설비가 녹기도 했다.

전기차발(發) 화재 피해 사례가 널리 알려지며 소비자 사이에서는 전기차 포비아 현상이 확산하기 시작했다. 일부 아파트 단지 등은 아예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이용을 금지하고 나서기도 했다. 일례로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한 아파트는 입주자대표회의 의결을 통해 지하 주차장의 전기차 출입을 금지하고, ‘불이 나면 모든 책임을 지겠다’는 각서를 쓴 차주에 한해 지하 주차장 이용을 허용하기로 했다. 한 전기차 차주는 “아파트뿐만이 아니다. (인천 청라) 화재 사고 이후 곳곳의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입차를 금지하고 있다”며 “눈치가 보여 지상 주차장, 심지어는 길거리에 차를 대는 전기차 차주들도 많다. 지하에서는 충전만 하고 지상에서 주차 자리를 찾는 식”이라고 토로했다.

국회는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기 위해 법안 발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때 소방시설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하는 주차장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김건 국민의힘 의원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정보를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규정한 ‘배터리 실명법'(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내놨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기차 내부에 장착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를 통해 배터리 이상이 감지됐을 시 의무적으로 차량 소유자에게 관련 상황을 통지하도록 하고, 차량 소유자가 배터리 이상과 관련한 검사를 받지 않으면 소방당국에 견인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의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정부 차원의 제도 개선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발의된 법안이 실제 정책적 효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소비자들의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을 당장 잠재우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semi_20240823
최근 화재 사고가 발생한 테슬라의 전기 트럭 ‘세미’/사진=테슬라

전기차 투자 심리 위축 우려

문제는 이 같은 소비자의 전기차 불신 기조가 LS이링크의 상장 과정에 거대한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안전성 리스크가 전기차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경우, IPO 흥행 실패 위험 역시 커지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테슬라의 전기 트럭 화재 사고는 이 같은 위험성을 여실히 입증하는 사례다.

미국 CBS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간) 오전 3시쯤 캘리포니아주 플레이서 카운티 에미그런트 갭 인근 고속도로에서 테슬라 전기 트럭 ‘세미’가 도로를 벗어나 나무와 충돌했다. 이후 차량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캘리포니아 소방대원 및 고속도로 순찰대는 고속도로를 16시간가량 폐쇄했다. 사고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은 화재의 원인으로 전기차에 탑재된 ‘리튬-이온 배터리’를 지목했다.

이에 테슬라 주가도 6% 가까이 하락했다. 22일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장보다 소폭 오른 223.82달러에 거래를 시작했으나, 결국 전장 대비 5.65% 내린 210.66달러에 장을 마쳤다. 같은 날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테슬라 전기 트럭에 대해 안전 조사를 개시하겠다고 발표하며 주가가 미끄러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의 주가 폭락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전기차발) 대형 화재 사고는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악재”라며 “국내 증시에서도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주가 하락, IPO 흥행 실패 등 (인천 청라 화재 사고의) 여파가 관측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