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도 中 전기차에 100% 관세 부과, 서방 동맹국과 공조 강화

160X600_GIAI_AIDSNote
중국산 EV ‘관세 폭탄’에 동참한 캐나다
미국·유럽과 보조 맞추기 위한 조치로 풀이
수익성 비상등 켜진 중국전기차업계 '타격 불가피'
canada_TE_20240807
사진=유토이미지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중국산 전기차에 고율의 관세를 무는 것으로 서방 동맹국과 보조를 맞추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캐나다도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 폭탄

26일(이하 현지시간)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오는 10월 1일부터 중국산 배터리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전기 트럭, 버스, 배달용 밴 등에 10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중국산 전기차에 물리던 6.1%의 관세에 추가로 적용된다. 이와 함께 전기차 세액공제 자격 요건도 자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제품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또 배터리 및 배터리 부품, 반도체, 태양광 제품, 주요 광물 등 다른 분야에 관세를 물릴지에 대해서도 30일간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의 자동차 산업을 미래의 자동차를 만드는 글로벌 리더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중국과 같은 행위자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불공정한 이점을 얻기 위해 우리의 주요 산업의 안전을 위협하고 헌신적인 캐나다 자동차 및 금속 노동자들을 쫓아내고 있다”며 비판했다. 특히 이번 발표는 바로 전날 트뤼도 총리가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난 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당시 트뤼도 총리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전 세계 다른 경제와 조화롭게 보조를 맞추기 위해 이 조치를 취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대폭 올릴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다. 아울러 멕시코를 통한 중국산 전기차의 우회 생산과 수출도 막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캐나다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캐나다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지난해 캐나다는 약 150만 대의 경차를 생산했는데 대부분이 미국으로 수출됐다. 이와 관련해 캐나다자동차제조업체협회의 브라이언 킹스턴 사장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검토가 2026년에 예정돼 있는 가운데 캐나다가 미국과 어긋날 경우 자동차 산업과 경제에 있어서 너무나 많은 것들이 위태로울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BYD_TE_20240827
사진=BYD

中 전기차 기업들, 보조금 없인 수익 반토막

미국과 EU에 이어 캐나다도 폭탄 관세를 부과하면서 가격 경쟁으로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진 중국 업체들의 타격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중국 전기차제조업체 BYD는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9.6% 오른 57억 위안(약 1조761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는데 이는 자체 차량 판매로만 거둔 실적이 아닌 중국 당국의 재정 지원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시장에선 보조금을 제외하면 BYD가 수익 성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투자업계에서도 BYD 수익성이 예년만 못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상황이다. 우선 워런 버핏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가 2022년부터 20%를 상회했던 BYD 지분을 단계적으로 매각해 최근 4.94%까지 낮춘 모습이 포착됐다. ‘기업의 내재가치보다 주가가 저렴할 때만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버핏 회장의 포트폴리오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도 활용되는데, BYD 관련 부정적 전망을 지분 감소로 드러낸 셈이다.

BYD 수익성에 의문부호가 붙는 이유로는 중국 내 극심한 전기차 판매 경쟁이 거론된다. 전기차 제조 업체들이 공격적인 가격 경쟁을 벌이는 탓에 수익성을 다소 낮추더라도 할인을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일각에선 이러한 전기차 가격 전쟁이 공급 과잉으로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 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2023년 자동차 생산 능력은 4,870만 대였으나, 같은 기간 판매량은 수출 물량을 포함 3,000만 대에 그쳤다. 제조한 차량 가운데 38.4%는 재고로 남아 이들을 밀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의미다.

이런 와중에 중국 정부가 보조금 정책을 바꿀 경우 중국 전기차 업황 전체에 부담이 갈 수 있다는 분석도 뒤따른다. 자산운용사 픽텟 재팬의 마쓰모토 히로시(Matsumoto Hiroshi) 수석 연구원은 “중국 당국이 최근 전기차 신차 구매 보조금을 2만 위안(약 374만원)으로 2배 늘리긴 했지만 이러한 정책은 바뀔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정책 변화가 전기차 시장 충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무디스 “中 전기차업계, 신흥시장에 주력해야”

이에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지리적 범위 확장을 통해 장기적으로 시장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보고서는 중국 업체들이 주력해야 할 시장으로 중남미, 중동 및 동남아시아 등을 제시했다. 해당 지역은 지정학적 위험이 비교적 낮고,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증가세일 뿐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 방안이 진전되면서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이다. 이와 관련해 거윈 호(Gerwin Ho) 무디스 부사장 겸 선임 연구원은 “강력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치열한 국내 경쟁으로 인해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의 수익성은 침식되고 있다”며 “이러한 과제와 규모를 키우려는 욕구가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을 촉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한국을 제치고 이스라엘에 가장 큰 자동차 수출국으로 등극했고, 동남아시아에서의 시장 점유율도 2021년 47%에서 지난해 74%로 급증했다. 아울러 올해 1~5월 브라질로 수출된 중국 차량(전기차·가솔린차·트럭 포함)은 6배 이상 급증해 15만9,612대로 집계됐으며, 아랍에미리트(UAE)로의 배송량은 92% 증가해 11만4,530대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거윈 호(Gerwin Ho) 무디스 부사장 겸 선임 연구원은 “강력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치열한 국내 경쟁으로 인해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의 수익성은 침식되고 있다”며 “이러한 과제와 규모를 키우려는 욕구가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을 촉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 본토 시장에서 전기차는 신규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치열한 가격 경쟁이 계속되면서 관련 업계의 수익성은 크게 악화한 상황이다. 중국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BYD를 필두로 중국 완성차 업체들은 가격을 5~20% 인하했는데, 이후 중국에서 판매되는 50개 차종의 평균 가격이 10% 하락했다. 이와 동시에 미국과 EU 등 선진국의 관세 인상으로 중국 전기차 업계의 수출길이 좁아진 만큼, 신흥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수밖에 없다는 게 무디스의 분석이다.

다만 상존하는 시장 리스크는 변수로 남아 있다. 무디스는 “신흥 시장은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 전기차 업체는 진화하는 지정학적 긴장과 변동하는 수요에 직면해 있는 상황으로, 생산을 늘리고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려면 비용이 더 많이 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전기차 인프라가 미비한 점도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