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미국 사업권 사겠다” 강제 매각 압박 속 출사표 던지는 시장

160X600_GIAI_AIDSNote
미국의 틱톡 강제매각법 제정, 새 주인은 누구
프랭크 맥코트, 스티브 므누신 등 큰 손들 줄줄이 참전
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도 "틱톡 인수 검토한 적 있다"
usa_tictok_20240516

미국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틱톡에 대한 강제 매각 압박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곳곳에서 사업권 인수 의향을 밝히며 ‘출사표’를 던지는 양상이다.

프랭크 맥코트, 컨소시엄 구성 본격화

15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LA다저스 구단 소유주였던 맥코트는 그의 프로젝트인 ‘리버티 이니셔티브’가 구겐하임 증권 등과 함께 미국 내 틱톡 사업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 중이라고 밝혔다. 프로젝트 리버티는 맥코트가 지난 2021년에 설립한 기구다. 맥코트는 틱톡 인수 시 플랫폼 재정비를 통해 개별 사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신원과 데이터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틱톡은 미국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으나,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를 사며 미국 당국으로부터 강제 매각 압력을 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하는 소위 ‘틱톡 강제 매각법’이 제정되기도 했다.

이에 틱톡은 해당 법의 합헌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연방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지난 7일(현지시간) 틱톡이 워싱턴 DC 법원에 제출한 소장에 따르면, 틱톡 측은 “매각법이 모호한 국가 안보 우려에 근거해 비상하고 위헌적인 권력을 주장하며, 헌법이 보장한 1억7,000만 명 미국인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틱톡 금지는 명백한 위헌”이라며 “강제 매각은 상업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법적으로도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前 미국 재무장관도 “내가 사겠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맥코트 외에도 다수의 인사들이 틱톡 사업권 인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3월 WSJ는 스티브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이 틱톡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그는 CNBC에도 출연해 “(외국의 적이 통제하는 앱으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하는) 법안이 통과돼야 하고, (틱톡은) 매각돼야 한다”며 “틱톡은 훌륭한 사업이고, 틱톡을 인수하기 위해 그룹을 구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므누신 전 장관의 해당 발언은 미 하원이 틱톡을 사실상 미국에서 퇴출하는 법안을 처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그는 “이것(틱톡)은 미국 기업이 소유해야 한다”며 “중국도 미국 기업이 중국에서 이런(틱톡과 같은) 회사를 소유하도록 허용할 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유튜브, 페이스북 등을 미국의 SNS 서비스를 다수 금지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tiktok_ban_20240516

구글 전 CEO까지 눈독 들여

최근에는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인수를 고려한 적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슈미트 전 CEO는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틱톡의 인수 가능성을 검토한 적 있다”며 “현재로선 인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틱톡이) 소셜 미디어라기보다는 텔레비전과 더 비슷하다고 생각한다”며 “개인적으론 미국이 이를 금지하거나 사법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 규제하는 것이 더 낫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슈미트 전 CEO는 10년 넘게 알파벳(NAS:GOOGL)의 구글을 운영해 온 인물이다. 한편 SCMP는 “바이트댄스가 피드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결정하는 핵심 기술인 알고리즘을 매각할 가능성은 낮다”며 “이 알고리즘은 틱톡의 미국 월간 사용자 수를 1억7,000만 명 이상으로 끌어올린 원동력”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