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빠진 내수에 3분기 성장률도 0%대 전망, 올해 2.4% 달성 가능할까

160X600_GIAI_AIDSNote
3분기 GDP, 한은 0.5% vs 금융기관 0.4% 전망
수출도 증가세 둔화, 순수출 기여도 마이너스
건설투자, 2분기 이어 3분기도 역성장 예상
Concept of economic indicator GDP falling,3d rendering
사진=유토이미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국내 기관들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전기 대비 0.5% 성장을 예상하지만 일각에서는 내수 부진을 이유로 0.3% 안팎의 성장 가능성도 제기된다. 3분기 GDP 결과에 따라 한은이 제시했던 올해 성장률 전망치 2.4%도 달라질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3분기 성장률, 금융기관 컨센서스 0.4%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국내 기관은 3분기 성장률이 0.3%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일 한국투자증권은 3분기 GDP 성장률을 0.37%로 예상하면서 한 달 전에 발표한 추정치 0.40%를 하향 조정했다. iM증권도 지난 15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3분기 GDP 성장률을 0.3%로 예상했다.

두 기관은 성장률 전망의 근거로 각각 내수 부진과 둔화하는 수출 증가세를 들었다. 먼저 iM증권은 국내 경기 흐름이 약화된 것에 주목했다. iM증권 관계자는 “내수 부진으로 동행지수 순환변동치(7월 98.3→8월 98.2)가 하락하는 등 국내 경기 모멘텀 약화가 뚜렷해졌다”며 “금리인하 시점이 지연되면서 내수 부진이 최소한 2025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과정에 지난 1일 발표된 수출입 통계에서 7~8월 수출액이 하향조정된 점을 주목했다. 7월 수출은 575억 달러(약 79조2,000억원)에서 573억 달러로, 8월 수출은 579억 달러에서 578억 달러로 낮아졌다. 수출은 작년 1월 463억 달러(약 63조8,000억원)로 저점을 찍은 후 올해 1월 548억 달러, 5월 580억 달러 등으로 증가한 뒤 최근 증가세가 주춤하다.

물론 이 두 기관보다 높은 성장률을 예상하는 기관들도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8월 낸 ‘하반기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3분기 성장률을 0.5%로 전망했다. 교보증권도 지난 5월 보고서에서 3분기 성장률을 0.4%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 기관들을 포함하더라도 성장률 전망치가 0.5%를 넘기지는 않는 모습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현재까지 각 금융기관이 공표한 보고서를 토대로 취합한 3분기 성장률은 0.5% 안팎으로 집계되지만, 전망을 수정 중인 기관들이 많아 성장률이 하향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최근 컨센서스는 0.4%로 모아지는 분위기”이라고 전했다.

한은은 0.5% 성장 전망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이 내달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연간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한은은 지난 8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3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제시한 바 있다. 금융기관들의 3분기 전망이 한은의 전망보다 보수적인 셈이다. 하지만 만약 금융기관들의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한은의 올해 성장 전망치인 2.4%도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향후 한국 경제 성장세는 수출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이미 수입까지 고려한 순수출(수출-수입)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지난 2분기부터 마이너스(-0.1%포인트)로 돌아섰고, 3분기에도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수출은 2분기와 비교해 물량적으로 더 늘어나기보다 정체되거나 약간 줄어드는 그림이고 수입은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내수 회복세가 더딘 점도 관건이다. 현재 민간소비는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건설투자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민간소비에 대해 “인플레이션 둔화 및 임금 상승에 따른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개선 속에 금리 하락을 감안할 때 민간소비 회복이 예상된다”면서도 건설투자에 대해서는 “선행지표 감소의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건축 기성 감소로 인한 건설 투자의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 역시 향후 경기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경제전망과 관련해 “여러가지 불확실성이 있다”며 “미국 대선 결과와 미국 경기 연착륙, 중국 부양정책 효과, 정보통신(IT) 경기 사이클 등이 수출에 주는 영향이 많기에 점검해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exportation CN FE 001 20240618

부양책 후유증에 시달려 온 中

이에 전문가들은 3분기 성장률 수치가 내수 회복이 더디거나 침체가 더 심화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한은과 정부의 통화 및 재정정책 수정에 대한 요구도 더욱 커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와 한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야당과 일부 여당 의원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와 확장적 재정정책의 필요성이 나오기도 했다.

다만 재정정책에 대한 후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실제로 최근 중국 지도부가 추가 부양책을 시행하는 데 주저하는 이유는 2008년 투입한 ‘4조 위안(약 773조원)’ 규모의 재정정책의 후유증이 효과 못지않게 컸기 때문이다. 중국은 당시 부양책의 후폭풍을 아직도 겪고 있다.

경제 성장을 위해 급속한 신용 팽창을 용인한 대가로, 부실 대출이 중국 경제의 뇌관이 됐고 수년간 그림자금융(은행 시스템 밖에서 은행과 유사한 신용중개를 하는 비은행 금융기관)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아직도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유휴 인프라, 과도한 산업설비 등도 남아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규모 재정정책은 과잉 산업 생산 능력, 지방 정부의 부채 부담, 부동산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 금융 시스템의 만연한 위험 등을 불러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