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印 AI시장’ 공략 박차, 아시아 최고 갑부 암바니와 AI 파트너십 체결
인도로 몰리는 글로벌 빅테크들
엔비디아, 인도 AI 시장 공략 본격화
인도 최고 재벌과 '블랙웰 AI 허브 구축'
엔비디아가 릴라이언스와 타타 등 인도 굴지의 대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엔비디아가 성장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인도의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엔비디아, 印 릴라이언스·타타 등과 맞손
24일(현지 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AI 서밋에서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스와 인포시스 등 인도 최대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정부가 반도체 허브로 키우려는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에 릴라이언스가 짓고 있는 1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이 들어가는 것이다.
아울러 인도 데이터센터 서비스 기업인 ‘요타 데이터 서비스’, 인도 타타그룹의 통신 기업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주력 호퍼 AI 칩 수만 개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황 CEO는 “미래에 인도는 AI를 수출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며 “인도는 AI, 데이터, AI 인프라와 같은 기본적인 요소와 대규모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도는 이미 칩 설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이며 이미 AI를 개발하고 있다”며 “아웃소싱과 백오피스(업무 지원 부서) 역할을 넘어 인도는 AI를 수출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황 CEO는 또 “현재 엔비디아 매출에서 인도의 비중은 작지만, 우리의 기대는 크다”고 말했다.
젠슨 황 CEO, 반도체 칩 생산기지로 인도 낙점
실제 인도는 AI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인도 정부는 컴퓨팅 인프라 개발과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등 AI 육성 프로젝트에 1,030억 루피(약 1조7,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외에도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을 앞세워 인도 정부는 반도체 기업 투자금의 절반 이상을 지원하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걸었다. 글로벌 기업 입장에서도 14억 명 이상의 인구와 더불어 인터넷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인도는 중요한 시장이다.
이에 엔비디아도 일찌감치 인도를 포스트 차이나로 점찍고 공을 들여왔다. 지난해 9월 인도를 방문한 황 CEO는 뉴델리에서 인도 핵심 연구 인력들과 만나 인도 인력의 대대적인 재교육, 인도 데이터와 인재를 활용한 미래 AI 모델 구축 등을 놓고 논의하기도 했다. 또 인도 기술 허브인 인도 남부 방갈로르에서는 인도 최고의 공대인 인도공과대학(IIT) 출신 기술인재에 대한 신뢰를 표시해 눈길을 끌었다. 엔비디아는 인도가 AI 인재 공급처이자 반도체 칩 생산기지가 될 수 있는 데다 자사 제품을 위한 대규모 시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인도는 인도 내 AI 산업 활성화와 관련해 공통의 이해를 가지고 있다. 엔비디아는 최근 미국의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로 자사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 고급 사양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판매할 수 없게 되면서 인도 시장이 더욱 중요하게 됐다. 인도 입장에서는 자국 기술 인력이 아직 첨단 기기를 제조할 능력이 부족한 가운데 자국 전자 산업을 발전시키고 AI를 통한 디지털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보조금 등을 활용해 첨단 기업 유치에 나선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엔비디아는 이미 방갈로르와 뉴델리 인근 구르가온 등에 4,000명의 기술 인력을 가진 엔지니어링센터 4곳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인재풀이다.
애플·구글도 中서 인도로 갈아타
최근 탈중국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는 애플도 최신 아이폰16 시리즈를 인도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인도 현지 경제매체 머니컨트롤에 따르면 애플은 인도 타밀 나두의 타타그룹 공장에서 아이폰16을 조립하기 위해 근로자 교육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애플은 고급형 스마트폰 모델 생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인도는 주로 저가형 및 구형 버전의 아이폰을 생산했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아이폰 신제품 기본 모델 생산을 대만 폭스콘의 인도 현지 공장에 맡긴 데 이어 이번에는 주력 모델인 프로·프로맥스에 대해서도 인도 생산 비중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인도는 2025년 말까지 전체 아이폰 물량의 23%를 생산할 전망이다.
구글도 현지 생산 제품을 앞세워 인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 8월 구글은 “우리의 첫 번째 인도산 스마트폰”이라며 자사 폰 픽셀8의 인도 생산을 발표했다. 발표 당시 픽셀 9, 픽셀 9 프로 XL(Pixel 9 Pro XL), 픽셀 9 프로 폴드(Pixel 9 Pro Fold) 등 4종의 스마트폰과 픽셀 워치 3(Pixel Watch 3), 픽셀 버즈 듀오 2(Pixel Buds Duo 2) 등 새로운 픽셀 제품군도 소개했다. 특히 구글은 이번에 처음으로 폴더블 스마트폰인 픽셀 9 프로 폴드를 인도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달 초에는 타밀 나두 주 정부와 제조 및 생태계 구축 협약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