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학자 59.4% “지난 7월 FOMC 끝으로 사실상 기준금리 인상 종료”
WSJ, 경제학자 65명 상대로 올해 3분기 ‘경제 전망’ 설문 실시 경기침체 확률 낮아졌지만, 내년 경제 전망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아 중동 분쟁 등 세계 정세 불안에 ‘韓 경제’ 전망도 낙관하긴 어려워
미국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지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끝으로 사실상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기에 향후 1년 내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전망도 3개월 전보다 더 낮아졌다. 다만 응답자들은 중동 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이나 높아진 장기 국채 금리 등의 위험 요인으로 인해 경제 전망에 비관적인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같은 이유로 우리나라 경제 전망도 당초 예상보다 소폭 낮아졌다.
응답자 절반, 최초 금리인하 시점 ‘내년 2분기’로 전망
15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학계 경제학자 65명을 상대로 올해 3분기 분기별 경제 전망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향후 1년 새 미국 내 경기 침체가 발생할 확률’에 대한 응답 값의 평균치는 48%로 나타났다. 이는 3개월 전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이 54%였던 것과 비교하면 6%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경기침체 전망 확률이 5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중순 조사 이후 1년여 만이다. WSJ은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진정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게 반영됐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도 응답자의 59.4%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지막으로 금리 인상을 끝냈다고 평가했다. 반면 응답자의 23.4%는 11월, 10.9%는 12월에 마지막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응답자의 49.2%는 Fed의 최초 금리 인하 시점을 내년 2분기로 예상했으며, 내년 3분기(23.8%), 내년 1분기(15.9%)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응답자의 대다수(81.7%)는 현재 미국 기준금리 수준(연 5.25~5.5%)이 향후 2~3년 내 물가를 Fed 목표치인 2%까지 내리는 데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중동 분쟁 및 높아진 장기 국채 금리’ 등 미국 경제 불안 요소
직전 조사보다 경기 침체 발생 확률을 낮게 보는 응답자가 늘었지만, 그렇다고 미국 경제 상황을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것은 아니다. 응답자들은 내년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년 대비) 전망치를 0.98%로 예측했는데, 이는 올해 전망치인 2.1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고용시장 역시 내년 1분기와 2분기 월별 평균 신규 일자리 전망치를 각각 4만2,500개, 1만6,700개로 예측하며 올해 3분기의 13만8,800개보다 낮게 잡았다. 전반적으로 내년 상반기 미국 경제 성장률과 고용시장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개선되지 못한 셈이다.
미국 경제 전망이 여전히 어두운 데는 높아진 장기채권 금리가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80.7%는 최근 16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은 미국 장기국채 금리가 침체 가능성을 일부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판단했다. 다만 이들은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올해 말까지 연 4.47%로 하락하고, 내년 6월에는 4.16%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 등 중동지역 지정학적 위기 역시 외교뿐 아니라 경제 분야에서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쟁 등의 여파가 에너지 가격을 끌어올리며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분쟁이 확산될 경우 국제 유가 등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고금리 여건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확률이 높아질 거란 분석이다.
이스라엘-하마스 확전 8일째, 국내 경제 ‘상저하고’ 전망에 경고등
미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불안한 가운데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가자지구 전면 봉쇄가 8일째 이어지면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경제 여건과 원자재 가격,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주요 변수가 이전보다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유지하며 지난해 7월 이후 다섯 차례 연속 이어온 하향 조정세를 면했다. 이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예상한 올해 전망치와 같고, 이달 초 국회예산정책처가 전망한 1.1%보다는 높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된 점과 비교하면 아쉬운 대목이다. IMF는 높은 근원 물가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물가안정 목표 달성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지만, 일본과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주요국에선 상반기 부진이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내년 전망치는 지난 7월 발표 때(2.2%)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정부는 전망치 하향에도 2%대 성장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현지 시간) 모로코 마라케시 모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정도(2.2%) 규모 반등은 오히려 IMF가 한국 경제에 너무 낙관하는 것 아니냐는 측면에서 논쟁이 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이 조금 낮아졌지만, 다른 국가들은 다 죽을 쑤는데 한국만큼은 이례적으로 높게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동 분쟁에 더해 국제금융 불안과 국제유가, 러·우 전쟁, 중국 경제, 반도체 경기 등의 요소가 국내 경제를 좌우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이러한 요소가) 금융과 외환, 원자재를 포함한 수출 등 경제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여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