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이 내수 회복 효과 상쇄했다” 한국 3분기 GDP 성장률 0.1% 그쳐

160X600_GIAI_AIDSNote
미진한 3분기 경제 성장률, 순수출 성장 기여도 -0.8%p
한국은행 "연간 2.4% 성장 어려워, 내달 중 전망치 조정"
글로벌 제조업 경기 둔화·中 경기 침체, 韓 경제 성장 악재 될까
gdp_20241024

우리나라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한국은행 전망치를 크게 밑돈 것으로 확인됐다. 민간소비를 비롯한 내수가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이 눈에 띄게 위축되며 성장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수출이 침체 국면에 접어든 것은 아니지만, 차후 글로벌 제조업 부진·중국의 경기 침체 등이 수출 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3분기 GDP ‘성장 쇼크’

24일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0.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지난 2분기 역성장 충격에서 한 분기 만에 벗어났지만, 반등 폭은 사실상 미미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GDP 성장률은 올해 1분기 1.3%까지 치솟은 뒤 2분기 -0.2%로 마이너스 전환한 바 있다.

생산 항목별로 보면 3분기 민간소비는 0.5% 증가했다. 승용차와 통신기기 등 재화 소비와 의료, 운수 등 서비스 소비가 나란히 성장한 결과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를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늘면서 6.9% 늘었고,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면서 2.8% 감소했다.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는 0.9%p로 확인됐다. 민간 소비가 0.2%p, 정부소비가 0.1%p, 총고정자본형성(투자)이 0.2%p 성장을 늘렸다. 문제는 해당 기간 이어진 수출 부진 기조가 내수 회복 효과를 상쇄했다는 점이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0.8%p로 나타났다. 수출의 기여도가 -0.2%p, 수입의 기여도가 -0.6%p였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비IT 품목의 수출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IT 품목의 성장세까지 둔화되면서 순수출의 마이너스 기여도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korea_down_20241024

연간 성장 전망치 조정 불가피

3분기 성장률은 한은이 지난 8월 처음 공개했던 분기 성장률 전망치에 크게 미치지 못한 수준이다. 한은은 당시 우리나라의 3분기 GDP가 직전 분기 대비 0.5%,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할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 3분기 전기 대비 성장률은 전망치의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5%로 전망치를 0.5%p 밑돌았다.

분기 전망이 완전히 틀어지면서 한국은행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2.4%) 역시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2024~2025년 성장률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내수 회복 속도, 주요국 경기와 IT 사이클, 글로벌 교역 조건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해 다음 달 다시 경제에 관해 전망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도 직접 성장률 전망치 조정을 시사하고 나섰다. 신 국장은 24일 ‘2024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설명회에서 “(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전기 대비)이 1.2% 이상 나와야 연간 성장률이 2.4%가 될 수 있는데, 2.4%는 어렵다고 본다”며 “3분기 실적이 나와 불확실성이 확인됐으니 이를 반영해 11월 전망에서 성장률을 다시 조정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다음 달 28일 수정 경제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韓 수출 시장 변수는?

다만 한은은 3분기의 수출 부진이 ‘수출 침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신 국장은 “3분기 수출이 마이너스긴 하지만, 교역 여건과 해외 수요 등을 고려했을 때 심각한 수출 침체 신호라기보다 조정 과정으로 해석하고 있다”며 “수출 호조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게 일반적 견해”라고 발언했다. 단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세 둔화, 중국 내수 부진 우려 등은 수출 관련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 최근 주요국들의 제조업 관련 지표는 줄줄이 악화하는 추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로 예비 집계됐다. 이는 1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자 기준치(50)를 밑도는 수치로, PMI가 기준치를 하회할 경우 업황이 위축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해석한다. 중국의 제조업 PMI 역시 5월(49.5)부터 5개월 연속 기준치 이하에서 머무르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9월 제조업 PMI는 49.8이다.

우리나라 수출 시장의 가장 큰 변수로 꼽히는 중국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중국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3분기 중국의 GDP 성장률은 4.6%를 기록했다.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5% 성장’을 달성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성장 둔화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9월 말부터 금리 인하, 주식 및 부동산 시장 지원 대책, 대형 국유은행 재자본화 등의 경기 부양책을 줄줄이 도입·발표하고 나선 상태다. 이와 관련해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유의미한 효과를 내지 못할 경우, 중국을 최대 수출국으로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타격이 돌아올 수밖에 없다”며 “일각에서는 4분기 GDP 성장률마저 한국은행 전망치(0.6%)를 밑돌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