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6조원 가까이 늘어난 주담대, 87%는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

160X600_GIAI_AIDSNote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금융 한 달 새 4조8,000억원 증가
‘상생금융’ 강조하는 정부 “취약계층 위한 자금 공급 지속해야”
‘주담대 대환대출’ 도입 예정, 내년 주담대 시장 은행 간 금리경쟁 예고
증감액

은행의 주택 관련 대출 6조원 가운데 4억8,000억원은 정책자금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한 대규모 재개발지 이주비 대출을 맡은 시중은행에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6,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11월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집행한 대출 규모는 크지 않았던 셈이다. 다만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금융당국의 압박에 은행권 대출금리가 하락한 것에 더불어, 주담대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이 가까워져 오면서 향후 대출 수요가 더 늘어날 거란 전망이 나온다.

11월 주담대 5조9,000억원 증가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은행 주담대는 전월보다 5조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지난 8월(7조원)과 9월(6조1,000억원)보다 낮았으나 10월(5조8,000억원)보다는 소폭 늘었다.

늘어난 주담대 금액 가운데 실수요자 대상 특례보금자리론·디딤돌·버팀목 등의 정책자금 대출은 4조8,000억원으로 전체의 87%에 달했다. 서울의 한 대규모 재개발지 이주비 대출을 맡은 우리은행에서 집단대출이 6,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반면 은행권 자체 주담대 증가액은 1조1,000억원에 그쳤다.

은행권 자체 주담대의 증가세가 둔화된 이유는 정부의 압박 때문이다. 지난달 정부는 시중은행의 은행장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가계대출 관리를 당부한 바 있다. 당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부는 GDP(국내총생산) 규모를 넘는 과도한 가계부채는 문제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가계부채 관리에 대한 은행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는 정책 대출만큼은 축소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금융위는 지난달 8일 관계부처 합동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 후 보도자료를 통해 “서민금융 지원을 하더라도 가계부채 총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00% 이하로 떨어트려야 하지만 취약계층에 대한 자금 공급은 지속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FE_Template

‘주담대 대환대출 플랫폼 도입’ 앞둔 주담대 시장, 내년 전망은?

주담대 잔액은 당분간 지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상생금융’을 강조하며 은행권 대출금리 인상을 자제함에 따라 은행권이 금리를 섣불리 인상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시중은행의 주담대 하단은 3%대로 내려앉았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이날 3.76~6.02%로 집계됐다. 국민에 이어 농협 주담대 하단이 3%대로 내려왔으며, 상단은 하나를 제외한 4곳이 5%대로 하락했다. 미국의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국채금리 하락에 따른 국내 금융채 금리 하락이 동반된 모습이다.

업계는 정부의 특례보금자리론 공급이 축소되더라도 주담대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거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주담대 금리도 점점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따라 민간이 취급하는 주담대 금리도 내려가는 만큼 그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내년 주담대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되는 점도 수요 지속이 예상되는 근거 중 하나다. 금융 플랫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일부터 주담대 대환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되면 주담대 상품 공급자인 은행 등 금융회사 간 금리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은행에 주담대 고객은 만기가 상대적으로 길고 담보가 확실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앞서 출시된 신용대출 대환 서비스의 경우 출시 이후 약 5개월간 2조원에 가까운 자금이동이 발생한 바 있다. 은행 관계자는 “주담대의 경우 통상 대출 실행 이후 3년이 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되기 때문에 신용대출보다 대환수요가 많을 것”이라며 “특히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았던 기간 주담대를 받은 차주들의 대환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융기관 간 금리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