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기차 관세 100%까지 끌어올린 美, 시장은 “효과 있을까”
美 CNBC "관세 폭탄으로 중국산 전기차 공세 못 막는다"
중국 내수 시장은 '공급 과잉' 상태, 차량 가격 줄줄이 미끄러져
실효성 의문에도 관세 장벽 높이는 바이든, 대선 고려했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한 ‘관세 폭탄’이 미국 내 중국산 전기차의 위협을 막기에는 충분치 못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내수 시장 내 경쟁으로 인해 중국산 전기차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만큼, 관세 인상만으로는 이들의 ‘공세’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관세 폭탄 소용없다”
미 CNBC 방송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컨설턴트와 무역 분석가들을 인용, 새로운 대중국 관세 장벽이 단기적으로 중국 자동차 업체의 미국 수출을 지연시킬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차단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가 현재 25%에서 100%로 4배 뛰어오른다고 해도, 비야디(BYD)를 비롯한 주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저렴한 모델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할 여지는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CNBC는 비야디의 소형 전기차 ‘시걸’에 100% 관세를 적용했을 때 실제 판매가는 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전기차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일 것이라고 짚었다.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의 미주 자동차·산업 실무 부문 공동 책임자인 댄 허시는 “그들(중국산 전기차)은 여기(미국)에 올 것이고, 그건 시간문제일 뿐”이라며 “서방 자동차 업체는 문제를 그냥 받아들일 건지, 아니면 그들을 가지고 놀 준비를 할 건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CNBC는 유럽을 비롯한 서방국에서 유사한 형태의 관세 정책이 나올 경우, 중국 업체들이 현지 생산 공장 설립이나 합작 투자 등을 통해 활로를 찾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했다. 이는 현대차와 기아, 도요타 등 한국과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미국 시장 진출 방식과 유사한 형태다.
중국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
실제 중국 전기차는 미국의 ‘관세 장벽’을 가뿐히 뚫을 만한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과잉 공급 상태에 접어든 가운데, 다수 업체들이 시장 생존을 위해 치열한 가격 경쟁을 벌인 결과다. 실제 중국 공업 정보화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전기차를 한 대라도 생산한 적이 있는 기업은 50곳이 넘는다. 지난해 전기차 공장 가동률은 지속되는 공급 과잉 상황으로 인해 50% 내외까지 떨어졌다.
가격 경쟁에 불을 지핀 것은 세계 1위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였다. 비야디는 지난 2월 춘제(春節·중국의 설) 연휴 직후 7만9,800위안(약 1,500만원) 수준의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했다. 3월에는 디스트로이어 07 하이브리드 신형을 출시하면서 시작가를 구형보다 11.3% 낮추기도 했다.
같은 달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샤오펑은 저가형 브랜드를 출범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현재 샤오펑이 판매하는 전기차는 20만∼30만 위안(약 3,700만∼5,560만원) 수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샤오펑은 프리미엄 라인의 절반 수준인 10만∼15만 위안(약 1,850만∼2,780만원)대 제품을 신규 출시, 본격적으로 시장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인 니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저가 브랜드 온보(Onvo)의 첫 전기차 ‘L60 SUV’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L60의 가격은 21만9,900위안(3만439달러·약 4,120만원)부터 시작한다. 동급 모델인 테슬라 모델Y의 가격이 24만9,900위안(3만4,617달러·약 4,680만원)부터 시작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눈에 띄게 저렴한 수준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정치적 전략
중국산 전기차 가격이 줄줄이 미끄러지는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가 실효성에 대한 비판을 감수하면서까지 관세 폭탄 정책을 고수하는 이유는 뭘까. 시장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선을 고려해 ‘보여주기식’ 대중국 견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재선에 도전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를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 공약에 힘을 싣고 있는 만큼, 바이든 대통령 역시 꾸준히 관세를 인상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는 시각이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제조업 노동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관세 장벽을 강화하고 있다는 견해도 제기된다. 현재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중국산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중국산 반도체와 태양 전지 등 다방면에 걸쳐 관세 인상을 공언한 상태다. 이 중 철강과 알루미늄은 대표적 경합주인 러스트벨트(기계 제조업과 함께 쇠퇴한 미국 북부와 중서부 지역) 노동자 표심을 좌우할 수 있는 품목으로 꼽힌다.
실제 철강 관세 인상 소식 발표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러스트벨트에 포함된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철강노조원들을 대상으로 연설을 진행, “중국 철강 업체들은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많이 주기 때문에 이윤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며 “그들은 경쟁(competing)이 아니라 부정행위(cheating)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철강 덤핑으로 인해 실질적 피해를 입은 노동자들의 눈앞에서 강력한 대중국 제재를 선언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