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서울우유, ‘신품종 도입·경쟁력 강화’ 협력
최근 사료 가격 급등, 2026년 FTA 유제품 시장 완전 개방 대책 마련해야 정부, 지난해부터 생산비 연동제에서 용도별 차등가격제 추진 콩, 귀리 등으로 만든 대체 음료, 수입산 멸균유 등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추세
지난 23일 경기도와 서울우유협동조합은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낙농산업 발전을 위한 경기도-서울우유협동조합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젖소품종 다양화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한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은 최근 사료 가격 급등과 2026년 자유무역협정(FTA) 유제품 시장 완전 개방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낙농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적이고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낙농가 소득증대 및 우유 소비 확대 협력
이날 협약식에는 김영수 경기도 축산산림국장,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낙농가 소득증대 및 우유 소비 확대 △젖소 육성우 목장 조성 △젖소 품종(저지종 등) 다양화 △우수 유전자원의 생산·평가 등 낙농산업 발전을 위해 공동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아울러 동물복지 축산농장 저변확대 등을 위한 공동 조사 및 연구와 그 밖에 낙농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항 등에 대해서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저지(Jersey)종 등 신품종 젖소 도입과 확산을 추진, 미래형 낙농산업 도약과 함께 도내 낙농가를 위한 새로운 소득 창출 계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우유 역시 젖소 송아지 육성기지 조성을 통해 낙농산업 기반 확대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산림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저지종 정액 및 수정란 생산 등 젖소 품종 다양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경기도 낙농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서울우유도 낙농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장은 “젖소 송아지 육성 및 공급으로 낙농 생산성을 향상하고, 경기도형 젖소 육성우 사업을 개발하여 도내 낙농가에게 큰 힘이 되겠다”고 전했다.
경기도, 과거 육우 산업 발전과 해외시장 개척에 대해 논의
한편 2014년 7월 경기도는 화성시 화옹간척지 4공구 에코팜랜드 내 축산연구단지 부지 5만㎡에 시설면적 1만8,315㎡(사육시설 1만5,000㎡, 부대시설 3,000㎡) 규모로 2017년까지 66억원을 투입하고 젖소 수송아지 육성기지를 조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참석자들은 “육우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며 “생산에서 출하까지 육우고기의 올바른 소비자 홍보가 시급하고 장기적인 육우 산업 발전을 위해 중국 등 해외시장 개척과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러한 계획은 시행되지 못해 사업 추진이 무산되는 듯했으나 이번 경기도와 서울우유협동조합의 협약으로 다시 활력이 생기기 시작했다.
비슷한 사례로 2010년 12월 제주도는 외국산 쇠고기 수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지역 축산업 시장의 여건을 완화하기 위한 ‘우량 한우송아지 생산기지’를 조성했다. 생산기지에는 축사시설 및 퇴비사시설, 조사료 생산장비, 급이시설, 퇴비처리장비 등의 시설이 완비됐다. 관련하여 한우 생산기지 조성사업은 방목 환경 조성으로 송아지 육성의 생산비를 낮추고 소의 인공수정을 실시해 가축개량을 선도하는 농가에 직접적으로 지원되는 사업이다.
원유 가격 결정 구조 개편안으로 인한 정부와 낙농업계의 갈등
지난 8월 정부는 지난해부터 원유 가격 결정 구조를 현행 ‘생산비 연동제’에서 ‘용도별 차등가격제’로 수정하는 내용의 낙농제도 개편안을 추진했다. 원유를 음용유와 가공유로 나눠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낮게 매기자는 것으로, 낙농업계에서는 농가소득 감소를 우려해 1년 가까이 맞서왔다.
이에 정부는 낙농업계의 우려에 대해 제도 개편 이후에도 음용유 쿼터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낙농가의 소득이 줄어들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며 설득 작업을 이어갔고, 최근 낙농제도 개편안에 반대하며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왔던 한국낙농육우협회(낙농협회)가 정부의 개편안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며 대화를 공식 요청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신뢰 훼손을 이유로 대화 중단을 공식화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다만 상황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 장기간의 대치 과정에서 정부와 낙농업계 모두 상대방에 대한 불신이 쌓여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새 낙농제도 개편안에 대한 검토를 포함한 의견이 접수된 것은 맞다”면서도 “후속 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업계 관계자는 “분유 시장은 전체 우유 시장의 미래”라며 “지난해 분유 시장 규모는 출생아 수 40만명대를 마지막으로 기록한 2016년(40만6,243명)보다 35.3% 축소된 것으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562명으로 2016년보다 약 35.9% 줄었고 이는 출생아 수 감소와 거의 일치한다”며 “우유의 주 소비층 인구가 줄어드니 분유뿐만 아니라 전체 우유 소비량이 늘어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게다가 지난해 총인구수가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이건 총수요가 줄었다는 말이다”라며 “이렇게 시장이 쪼그라드는데 우유 가격은 수요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결정된다”고 지적했다.
시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제도는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최근 콩, 귀리 등으로 만든 대체 우유나 수입산 멸균유 등으로 수요가 옮겨가고 있는 데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2026년부터 미국과 유럽연합(EU)산 유제품이 무관세로 전환될 예정인 만큼, 이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과 생산단계의 제도 개편 등 새로운 전략과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