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수원·용인·성남·화성시 모여 서울 3호선 연장 논의 나섰다

220만 수원·용인·성남·화성시민 출퇴근 위해 서울3호선 연장 논의 시작 경기도민의 출퇴근 시간 1시간 단축이 목표 현실성 떨어진다는 비판도, 사업비·착공비 마련 위해 방법 모색해야

160X600_GIAI_AIDSNote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1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400만 경기 남부 도민의 출퇴근 소요 시간이 1시간 빨라질 수 있도록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신상진 성남시장, 정명근 화성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서울 3호선 연장·경기 남부 광역철도의 효율적 대안 마련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수원·용인·성남·화성 총 4개 시의 인구를 보니까 웬만한 광역시의 2배가 넘는데 이들 4개 시 교통 대책에 중요한 내용인 3호선 지하철과 경기 남부 광역철도에 함께 뜻을 모으게 돼서 대단히 기쁘다”며 경기도지사 선거 당시 “경기도민에게 출퇴근 때 하루 한 시간씩 돌려드리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이번 업무협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여야 합의를 성공적으로 끌어내 경기도가 발전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광역철도망 자체가 착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좋은 합의가 도출되고 실무진이 서둘러 연구와 논의를 시작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착공과 준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이번 협약이 반드시 들어가도록 똘똘 뭉쳐서 해봤으면 좋겠다”며 “3호선 연장이 된다면 성남시의 첨단산업, 판교 교통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정명근 화성시장 역시 “화성시에 존재하는 전철역은 병점역 하나에 불과해 서울이나 인접 도시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하늘을 찌른다”며 “이번 협약의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와 4개 시는 ▲서울 3호선 연장·경기 남부 광역철도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관련 법령에 따른 일련의 행정 절차 공동 대응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정하고 균형 있는 사업이 되도록 상호 협력 ▲철도사업의 최적 노선안 마련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등 상위계획 반영 노력 ▲협력 사항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무협의체 구성을 하기로 했다.

서울 3호선 연장안, 경기도지사+경기남부 4개시장 모여 협약 체결

협약에서 제시된 서울 3호선 연장 혹은 경기 남부 광역철도는 서울시에서 경기도 동남부권인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 화성시를 연결하는 철도사업을 말한다. 서울 3호선 연장은 현재 고양시 대화역에서 서울 송파구 오금역에 이르는 노선을 성남을 거쳐 용인·수원·화성지역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경기 남부 광역철도는 서울 3호선 연장이 어려울 경우 대안으로 추진될 노선으로 서울 강남지역과 성남, 용인, 수원, 화성시를 연결하는 철도사업이다.

본래 지난 2020년부터 지하철 3호선을 경기 남부로 연장하자는 논의가 시작됐으나 수서 차량기지의 대체 부지를 찾지 못해 진전이 없었다. 이에 최근 교통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화성시에서 수도권 지하철 3호선 연장에 동참하며 부지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전해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현재 2028년 하남 덕풍역까지 연장이 확정된 상태지만, 만일 이번 협약이 최종 승인될 경우 수원 광교 중앙까지 연장된다. 경기도와 4개 시는 협약 목적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도록 사전타당성 용역을 신속히 추진하고 3호선 연장사업이 제5차 국가철도망에 반영될 수 있도록 나설 계획이다.

이미 지난 2021년 7월에는 수서 차량기지 분산 이전 방안을 서울시에 협의 요청했으며, 2021년 9월에 착수해 진행 중인 ‘경기도 철도 기본계획 및 도시 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에서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서울 3호선 연장과 경기 남부 광역철도’ 사업의 타당성도 검토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기도민들의 출퇴근난을 해소하기 위해 버스 업계 노사 의견에 따라 도내 시내버스 전 노선에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광역버스 증차와 심야 연장 운행, GTX 플러스 기본구상 연구용역 발주 등 교통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사진=경기도청

현실성 떨어지는 연장안, 사업비 높지만 경제성은 낮다

하지만 서울 3호선 연장안의 장래는 그리 밝지만은 않다. 먼저 사업비 조달에 관한 문제가 있다. 수원까지 연장하는 이번 안의 경우 지선이 필요한 대부분의 지역이 도심이 아니며, 용서고속도로 옆 산지나 녹지 아래를 관통하기 때문에 도심 개발 요소가 없어 끌어올 수 있는 사업비에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최소 3~4조원의 지하철 건설비용을 예상하며 경기도와 4개 시가 힘을 합치더라도 이런 어마어마한 사업비를 유치할 방법이 전무하다고 평가했다. 국비 지원 또한 서울 7호선 청라 연장 사업이나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 사업의 사례처럼 사업계획이 십수년간 표류되는 경우가 빈번해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경제성 역시 걸림돌이다. 경기 남부에서 제시한 지하철 노선 주변이 소규모 택지지구와 산지로 이뤄져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이용객 숫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물론 출퇴근 시 극심한 정체를 자랑하는 용서고속도로 문제가 일부 해결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운영으로 인한 수조 원대 손실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해당 지선이 지하로 연장될 경우 강남구 세곡동을 지나면 바로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위치한 서울공항 지하를 정타로 직격하게 된다. 서울공항 지하에는 유사시를 대비한 규모의 방공시설과 벙커 등 많은 지하 지장물이 넓게 존재해 지하철을 설치할 경우 공군 비행장의 군사적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지장물 회피를 위해 지하 깊숙이 지선을 연장할 경우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들어가는 만큼 앞서 기술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일부 여론은 이 같은 문제를 이유로 들며 경기 남부에서 제시한 서울 3호선 노선 연장은 현실성이 아예 없으며, 혹여 정치적인 논리로 이 노선이 지어진다고 해도 대한민국 지하철 역사상 최악의 적자 노선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임에도 전체 노선의 50%가 경기도를 관통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