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4.0 시대 구현하겠단 야심찬 정부 비전, 선도국과의 보건기술격차 따라잡을 수 있을까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 확정, 모든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 시대 구현할 것 기술·연구개발 투자에 초점, 2027년 내 미국의 82% 수준까지 보건의료기술 끌어올린다 보건복지부 “혁신적 보건의료 위한 R&D 생태계 조성해 디지털 헬스케어에 앞장서겠다”

160X600_GIAI_AIDSNote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제 보건의료 분야도 세계적으로 디지털화 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맞춰 최근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 중심의 의학으로 나아감과 동시에 연구개발 역량을 높여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보건의료 시스템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보건복지부는 19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회 심의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23~27)’을 확정하고 발표했다. 이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제적·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보건의료기술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범부처 종합계획으로,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제4조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한다. 범부처 회의였던 이번 심의회에는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 질병관리청 등 11개 부처가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큰 병 걸려도 국내서 고칠 수 있도록 보건의료기술 분야 육성한다

이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이후 마련될 보건의료기술 분야 중장기 계획으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과 대국민 설문조사, 공청회를 거쳐 최종 확정되었다. 이번 기본계획의 비전은 ‘모든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시대 구현’이며 ▲보건의료기술 향상 ▲보건 안보 위기 시 100일 내 대응 시스템 구축 ▲바이오헬스 수출 확대를 목표로 하는 4대 추진전략, 14대 중점과제, 46개 세부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복지부는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보건의료기술 수준을 선도국 대비 79.4%(2022년 기준)에서 82.0%(2027년)까지 향상시키고 보건 안보 위기 발생 시 100일 이내에 백신·치료제 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바이오헬스 수출을 242억 달러(2022년 기준)에서 447억 달러(2027년)까지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우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기술개발 투자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며, 심뇌혈관 환자, 응급 환자, 중환자의 예방 및 진단과 치료, 난임 극복과 신생아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조기진단과 치료 기술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암이나 치매 등 위험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기술을 확보하여 환자와 가족의 삶도 개선한다. 또 비용 효과적인 의료기술을 비교 연구하여 의료비 지출을 효율화시키고, 노인과 장애인의 자립‧재활‧돌봄 등 복지 기술을 향상시켜 건강 격차 및 불평등을 해소할 예정이다. 보건 안보 확립을 위한 백신과 치료제 개발,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투자해 백신 및 필수의약품 기술 자급화, 진단과 치료제 개발 역량 강화 등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R&D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범부처 협력을 통해 감염병 대응 연구체계를 고도화하고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개발체계도 마련한다.

바이오헬스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도 확대될 전망이다. 데이터‧AI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혁신을 촉진하고, 신약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생산 과정을 디지털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또한 첨단재생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의료기기 핵심기술을 확보해 사업화를 지원한다. 나아가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도 조성해 미충족 의료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중개‧임상 연구를 확대하고 R&D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컨설팅 및 성과 연계 등을 지원하고 민간 주도 혁신이 활성화되도록 규제 합리화, 인허가 등재 절차도 확보한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쟁력을 주도하는 산‧학‧연‧병 전문인력, 의사 과학자 등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도 지속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해 보건의료기술의 산업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자국민을 위험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보건 안보적 역할도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며, “보건의료 R&D를 통해 다양하고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실현되어, 국민의 생명‧건강을 보호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헬스케어 4.0 시대, 의료 분야 디지털화 넘어 보건의료 R&D 생태계 구축할 것

헬스케어 4.0을 정부에서 발표함과 동시에 가장 핵심적으로 대두됐던 내용은 ‘디지털 헬스(디지털 헬스케어)’다. 이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기에 관한 연구, 모바일헬스케어와 e-헬스케어를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빅데이터, 유전체학(genomics), 의료 인공지능을 포함하는 전 영역을 의학과 잘 융합하여 실제 임상 현장 및 연구 현장에서 적용해 나가는 전문 분야다. 정부에서는 현재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및 인공지능 등 ICT를 활용해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고, 환자 대상으로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는 서비스나 시스템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1,525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 5,08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8.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조사 기관 GIA(Global Industry Analysts)의 조사에 의하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분야 중 모바일헬스 산업이 864억 달러(57%)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으며, 그 뒤는 디지털 보건의료 시스템 447억 달러(29%), 보건 의료분석학 156억 달러(10%), 원격의료 58억 달러(4%) 순이었다. 2027년 전망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반영된 수치로 모바일헬스는 향후 7년간 연평균 16.6%씩 성장해 2027년 2,531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디지털 보건의료 시스템은 20.5%, 보건 의료분석학은 18.9% 성장해 2027년 각각 1,652억 달러, 52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원격의료는 2020년 기준 58억 달러(4%) 규모로 낮은 수준이지만, 추후 예상 성장률은 30.9%로 가장 큰 폭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이 같은 글로벌 시장의 흐름에 따라 우리 정부도 보건복지 분야의 디지털화를 필두로 헬스케어 4.0을 발효한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미 정부는 4차 산업 혁명과 맞물려 급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규모 사업을 구체화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지훈 전략기획단 PD는 지난해 11월 대한디지털헬스 학회를 통해 과제 당 126억원 내외가 지원되는 실증기반 서비스 확대형(1내역 과제) 15개, 과제당 30억원 내외가 지원되는 신서비스 개발형(2내역 과제) 50개를 선정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PD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실증 사업 과제로 도출된 내용을 공유했다. 과제는 병원과 지역사회, 사업장으로 나눠 1내역 과제인 ▲의료데이터 플랫폼과 스마트병원 서비스 ▲영유아 성장 발달 건강관리 통합서비스 ▲임산부, 가임 여성 건강관리 ▲갱년기 여성을 위한 서비스, 2내역 과제인 ▲원격 복약지도, 전자처방전 ▲전자문진 전자의무기록, 진료 정보교류 ▲요양 시설, 안전, 원격모니터링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R&D 지원 본격 확대, 2027년까지 보건 최고기술국 수준 어느 정도 따라잡을까

이번에 복지부에서 발표한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사업은 어느 정도 궤도에 들어선 듯하다. 이번 계획의 비전 자체가 보건의료 최고기술국인 미국의 82% 수준까지 성장하는 것임을 봤을 때, 정부는 점차 기술 연구개발 측면으로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2022 정부 R&D 사업 온라인 부처 합동 설명회’에서 2022년도 R&D 계획과 코로나19와 그로 인해 급부상한 디지털 헬스케어 및 차세대 의료제품 등에 대한 지원 계획을 소개했다. 복지부는 2022년도 R&D 전략 목표로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산·학·연·병 협력 강화를 강조해 왔다. 이에 지난 1년간 의료현장 감염병 대응 분야에선 감염병 재난 및 원내감염 상황 시 환자와 의료진 안전 강화를 위한 구조·시스템·장비·인력 최적화 기술개발이 진행됐으며, 백신 허브 분야에서는 백신의 안정적 공급과 글로벌 백신 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속 대응과 범용기반 기술, 고부가가치 백신 등 핵심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재생의료 R&D 지원 역시 전주기로 확대되어 임상 연구 분야에서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에 따른 재생의료 혁신 기술 발굴 및 연구개발 지원이, 재생의료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희귀∙난치 질환 극복 및 바이오경제 시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실용화 단계에서는 재생의료 분야 기초 원천 연구성과의 임상 적용을 위한 중개 연구, 실용화 임상시험, 산업화 기반 기술 등 지원이 추진될 전망이다. 차세대 유망기술로 분류되는 ▲혁신형 의료기기 ▲전자약 ▲실사용 데이터(RWD) ▲보건의료 빅데이터 ▲디지털 치료기기에 대한 지원은 전체 예산 규모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 영역이 확대되었다. 특별히 혁신형 의료기기는 제품의 글로벌 진출 지원이 이미 시작되어 기업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협력 연구와 해외 임상시험 지원 강화 및 국내 상용화 지원이 이뤄진 바 있다.

보건복지부 연구기획과 이대연 연구관은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확대해 기초연구·응용연구의 균형을 찾을 것”이라며 감염병을 비롯한 보건의료 문제 해결에서 나아가 보건의료를 국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미국도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하며 암 치료부터 각종 질병에 mRNA를 활용하고 있는 만큼, 한국도 이번 정책으로 한층 성장해 보건의료기술 분야에서 가시적인 효과를 보길 기대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