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생태계’에 힘 쏟는 정부, 신한울 3·4호기 건설 6년 만에 재개
신한울 3·4호기, 尹 정부 ‘원전 활성화’ 정책 등에 업고 6년 만에 공사 재개 지난해 준공된 1호기·올해 준공 앞둔 2호기 이어 원전 산업 생태계 활성화 기대 실려 원자력 생태계 회복 위해 투자 아끼지 않는 尹 정부, 가라앉았던 시장 ‘활력’
문재인 정부 당시 멈춰 섰던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6년 만에 본격 재개된다.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 및 원전 생태계 강화 기조의 영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 박완수 경남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제작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신한울 3·4호기의 주기기 및 보조기기 제작 계약 규모는 5조원에 달한다. 신규 원전 건설 공백으로 침체되어 있던 원전 업계는 물론, 관련 협력사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만한 규모다. 이에 더해 정부가 지난해 4,000억원, 올해 2,000억원 등 원전 기업에 대한 대규모 금융 지원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차후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 정상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3·4호기 신설 계기로 ‘원자력 정상화’ 박차
두산에너빌리티는 15일 신한울 3·4호기에 투입될 핵심 기기 제작에 본격 착수했다. 신한울 3·4호기 공사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17년 한 차례 중단된 바 있으나,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등에 업고 본격 재개됐다. 신한울 3호기의 목표 완공 시기는 2032년, 4호기는 2033년이다.
지난 3월 29일 체결된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규모는 10년간 2조9,000억원 수준이다. 이달부터는 10년간 2조원 규모의 보조기기 계약(192건)도 순차적으로 발주될 예정이다. 향후 10년 동안 국내 원전 업계에 5조원에 달하는 일감이 공급되는 셈이다. 아울러 두산에너빌리티가 주기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관련 협력사 수백 곳에 일감을 제공하는 만큼, 업계 전반에 ‘낙수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정부의 원전 생태계 연내 완전 정상화 기조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두산에너빌리티와 협력해 1차 연도 공정률을 높이고, 공정률에 따른 기성금을 신속하게 집행할 예정이다. 신한울 3·4호기 신설을 발판 삼아 원전 기업들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고, 국내 원자력 업계의 정상화를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차후 원전 산업 재도약을 위해 향후 5년간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한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 △한국형 원전(APR) 해외 수주를 위한 수출 대상국 규제 충족 기술 개발 △청정수소 생산 등 분야에 2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원전산업 인력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4,500명의 원전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삼고 관련 지원을 강화한다.
12년 만에 준공된 신한울 1호기, 2호기는 올해 준공
신한울 1호기는 올해 초 자그마치 12년 만에 준공됐다. 2014년 12월 운영 허가 신청 후 과정이 매끄럽지 못해 실제 운영 허가를 취득하는 데에만 6년 7개월이 걸렸다. 선행호기인 새울1호기(약 4년), 신월성1호기(약 2년)와 비교하면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된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본래 신한울 1호기는 2017년 준공 및 가동 예정이었다. 하지만 2016년 경주·포항 지진 이후 2011년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전례가 재조명되며 상황이 복잡해졌다. 원전 안전성 강화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진 것이다. 이후 신한울 1호기는 건설 및 시운전, 인허가 심의 과정에서 상당한 난항을 겪게 됐다. 한편 업계에서는 신한울 1호기의 준공 지연의 공식적 원인은 ‘경주 지진’이지만, 사실상 근본적 원인은 지난 정권의 탈원전 정책에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신한울 1호기 건설 기간 중 투입된 인력은 530만 명, 참여한 협력업체는 300여 개에 달한다. 수년에 걸쳐 원전 업계 전반의 고용 창출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다. 신한울 1호기는 앞으로 매년 2021년 국내 총발전량(57만5,785GWh)의 약 1.81%(1만424GWh)에 달하는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울 2호기는 2022년 사용 전 검사를 종결했으며, 현재 운영 허가 취득을 위해 원자력 안전전문위원회에 보고·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올 상반기 내 운영 허가 취득 및 연료장전이 목표다. 신한울 2호기는 연료장전 후 시운전 시험 및 초기 임계, 출력 상승 시험, 성능 보증 시험 등의 각종 시운전 시험을 거쳐 올 하반기 준공될 예정이다.
‘원전 정상화’ 위해 아낌없이 투자하는 정부
현재 정부는 원전 정상화를 위해 금전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먼저 채용 부분에서는 원자력산업 퇴직자 및 재직자 대상으로 건설, 정보통신, 방사선, 원전 해체, 핵융합 등 원전 실무 교육 및 미래 유망 분야 전문 교육을 무상으로 지원한다. 교육을 수료한 경력 인력을 채용한 기업에는 채용보조금(1인 최대 월 360만원)이 지급된다. 아울러 전공자 인턴십‧정규직 전환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에서 자체 채용한 정규직 전환형 또는 체험형 인턴에 보조금을 지원한다.
매출 급감 및 고금리로 침체한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다양한 금융 지원도 시행한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정책자금, 협력업체 대출 등 약 4,000억원 규모의 긴급금융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지난 3월 산업부는 중소·중견기업들이 당면한 자금경색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산업은행·한수원·두산에너빌리티와 공동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총 2,0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대출프로그램인 「특별금융 프로그램」을 추가 시행하기도 했다.
신규 원전 건설의 공백으로 ‘암흑기’를 겪던 원전 산업계는 최근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며 점차 활력을 되찾는 추세다. 준공된 신한울 1호기, 준공을 앞둔 2호기에 이어 6년 만에 재개된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업계 정상화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