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수출 확대 “사업자 간 네트워킹 상시화 필요”
문체부, 제7차 콘텐츠 수출대책회의 OTT-방송영상 세계시장 공략 방안 논의 규제 철폐, 신시장 육성 등 현장 목소리 청취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및 방송영상 콘텐츠의 세계 시장 공략 방안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18일 전병극 제1차관 주재로 「제7차 콘텐츠 수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방송 영상 및 OTT 콘텐츠 분야의 규제 철폐와 해외 진출 확대 방안, 최근 주목받고 있는 K-예능 육성 방안 등을 논의했다.
K-방송영상콘텐츠의 매력이 세계인을 사로잡고 있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021)에 이어 최근 JTBC <재벌집 막내아들>, 넷플릭스 <더 글로리>까지 팬데믹 시기부터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K-콘텐츠 규제 철폐 ▲해외 진출 확대 방안 ▲K-예능 등 신시장 육성 방안 ▲미래세대 육성 및 국제 교류 확대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방미사절단으로서 포럼에 참석했던 5개 기업을 비롯해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주요 협·단체, 방송영상·OTT 콘텐츠 주요 제작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콘텐츠 수출의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K-예능의 활성화를 위한 현장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먼저, 콘텐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국내 제작사와 창작자, 글로벌 콘텐츠 사업자 간 네트워킹 상시화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콘텐츠 해외 진출의 핵심인 로컬화와 IP(지식재산권) 활용이 활성화되도록 상시적 소통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중소제작사에는 해외 마켓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등 맞춤형 지원의 요구하는 목소리도 들렸다.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으로 K-콘텐츠 규제를 혁파하기 위해서는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을 상향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더불어 K-콘텐츠의 경쟁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력 양성 프로그램과 국내외 인력교류 프로그램 지원책 마련도 요구됐다.
한편, 문체부는 올해 방송영상·OTT 콘텐츠의 세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한다. 수익 창출의 핵심 요소인 IP을 제작사와 국내 OTT 사업자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국내 OTT 플랫폼을 통해 우선 방영할 수 있도록 하는 ‘OTT 특화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을 454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제작사가 보유한 IP을 활용해 후속 사업 진행과 해외 진출을 돕는 ‘중소제작사 글로벌 도약 지원’ 사업을 100억원 규모로 새롭게 지원한다. 시각효과나 번역, 더빙같이 콘텐츠 수출에 필요한 후반작업도 올해 처음 30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방송영상·OTT 콘텐츠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 큐브 내에 ‘수상해양복합촬영장’을 구축하는 등 기반도 확충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