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약화로 적신호 켜진 바이든의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의 벽

160X600_GIAI_AIDSNote
바이든의 꿈 '해상 풍력발전',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으로 좌절되나
신재생 에너지로서 사업성 없는 건 아냐, 여전히 유망한 풍력발전
정부 차원의 적극 대처, 신재생 에너지 사업 불안정성을 타개할 유일한 방법
지난 3월 미국 에너지부가 발표한 제로 탄소를 위한 행동 지침을 담은 보고서 표지/사진=미국 에너지부(DO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던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가 참여 업체들의 잇따른 계약 파기로 난관에 봉착했다. 참여 업체들이 미국 내 고금리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한 손실이 예상되자 막대한 위약금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를 포기한 탓이다. 다만 여전히 탄소 에너지를 대체할 방안으로 풍력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가 유력하게 거론되는 만큼 바이든 정부의 의지에 따라 사업의 사활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야심 찼던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불발 위기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해상 풍력발전소 건설에 참여한 민간 업체들이 비용 상승을 이유로 계약을 파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최근 미국 신재생 에너지기업 에이번그리드는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와 각각 맺은 수조원 규모의 해상 풍력발전 건설계획을 파기하고, 매사추세츠주에 4,800만 달러(약 628억원), 코네티컷주에 1,600만 달러(약 209억원)의 위약금을 지불했다. 세계 최대 해상 풍력 업체로 꼽히는 덴마크 오르스테드 역시 뉴욕주와 맺은 해상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 진행을 중단하고 주 정부에 에너지 가격 인상을 요청한 상태다.

막대한 위약금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이 계약을 파기하는 이유는 사업 진행 시 예상되는 손실 규모가 더 크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 업체들의 균등화 발전 비용(발전 설비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고려해 산출하는 전력 단위당 단가)은 2021년 Wh(와트시)당 77.3달러(약 10만원)에서 올해 114.2달러(약 15만원)로 약 50% 늘었다. 즉 2021년 전후 프로젝트에 계약한 업체의 경우 프로젝트를 통해 창출할 수 있는 수익이 그만큼 감소한 셈이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업체들의 이자 부담이 커진 점도 한몫했다. 실제로 에이번그리드와 오르스테드가 풍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진행했던 2020년과 2019년에는 금리가 2% 수준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5% 이상 증가했다. 이외에도 재료비, 물류비, 인건비의 상승으로 수익은커녕 손실만 예상되는 상황이다.

2019년 1월부터 2023년 5월까지 미국의 월간 석탄발전 비중/자료=미국 에너지정보청(EIA)

풍력발전 에너지, 높은 사업성 인정받았지만

미국 내 풍력발전 시장은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유망한 분야로 손꼽힌다. 실제로 지난 6월 미국 에너지 싱크탱크인 ‘에너지경제 및 재무분석연구소(IIEF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월 미국의 풍력 발전량은 총 4,270만MWh를 기록하며 석탄 발전량 4,200만MHh를 능가했다. 미국 전체 발전량에서 석탄 발전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5월 14.3%로 2019년 1월 29%에 비해 절반가량 하락했다는 통계도 덧붙였다.

단순 발전량뿐만 아니라 사업성 역시 풍력 에너지가 다른 신재생 에너지에 비해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해상 풍력은 정오 무렵에 약해지고 이른 저녁부터 다시 강해지는 특성이 있어 주로 야간에 전력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에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풍력 터빈 개발사 트라이던트 윈드(Trident Winds)의 알라 와인스타인(Alla Weinstein) 대표는 이같이 설명하며 “해상풍력 발전은 전기 배전사업자가 야간 시간대에 무탄소 에너지원으로부터 더 많은 전기를 끌어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전력 생산이 화석 연료 의존도를 벗어나는 시점에서 중요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 정부에서 적극 추진하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기업이 해상풍력 터빈을 자국 내에서 제조하고 풍력발전과 관련된 지원 인프라를 적극 개발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된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에 당시 세계적인 풍력 타워 제조 기업인 ‘씨에스윈드(CS WIND)’의 김성권 회장은 미국 풍력 시장이 앞으로 10년 동안 지금보다 2~3배 커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아직도 압도적인 탄소 에너지 사용량,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필요

하지만 여전히 시장에서 통용되는 에너지는 화석연료를 이용한 탄소 에너지가 신재생 에너지보다 우세하다. 미국 에너지 연구소인 맨해튼 인스티튜트의 마크 밀스 연구원은 “지난 20년간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이 투자됐지만, 여전히 현대 문명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84%는 탄소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칼럼니스트인 제임스 프리먼 역시 “아직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석유 감산 조치에 관한 발표를 하거나 금리 이슈가 발생하면 그 즉시 국제 유가가 움직인다”고 언급하며 “이같은 이슈에도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면 화석연료 사용을 없애기 위한 각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은 망상에 가까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달 말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자발적 석유 감산 조치가 12월 말까지 계속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자 국제 유가가 다시 반등했다. 2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중질유(WTI) 선물은 전일 대비 2.02달러(약 2,649원) 상승한 배럴당 82.46달러(약 10만8,000원)를, 북해산브렌트유 선물은 2.22달러(약 2,900원) 상승한 86.85달러(약 11만4,000원)를 기록했다.

결국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불안정성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비약적으로 낮아져 시장에서의 사업성과 가치가 완전히 하락하기 전까지 피할 수 없는 셈이다. 정부 차원에서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강한 의지를 보여야만 사업이 지속될 수 있단 얘기다. 미래 환경 보호와 자원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시작한 만큼 바이든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