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 노인 가구 ‘천만 시대’, 2052년엔 절반 이상이 노인 가구

160X600_GIAI_AIDSNote
다른 선진국보다 노인·1인가구 증가 가팔라
총가구수는 2041년 정점 찍고 감소세 전환
고령인구 비율은 연평균 0.7%포인트씩 증가
20240913_pe_old

오는 2038년 국내 고령자 가구가 1,000만 가구를 넘어서고, 2052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을 웃돌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고령화로 인해 독거 노인이 늘어나면서 2037년에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40%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고령화의 속도가 기존 전망에 비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상 인구추계에서는 중위 추계와 함께 낙관적·비관적 시나리오를 함께 제시하는데 실제 출생아 수, 고령인구 등이 비관적 시나리오의 전망치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가구 비중 2022년 24.1%→2052년 50.6%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38년 1,003만가구로 1,000만선을 넘어선다. 2052년에는 1.178만8,000가구로 2022년 대비 2.3배 증가한다. 이 가운데 42%인 496만 가구는 혼자 사는 가구라고 통계청은 내다봤다.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22년 24.1%에서 2052년 50.6%로 높아져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혼인율이 감소하고 고령화로 인해 독거노인이 늘어나면서 1인 가구의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1인 가구는 2022년 738만9,000가구에서 2052년 962만 가구로 연평균 7만4000가구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34.1%에서 2032년 39.2%로 5%포인트 이상 늘어난다. 2037년에는 40.1%로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이 시점 2인 가구 비중 33.0%을 합치면 네 집 가운데 세 집꼴로 혼자 살거나 둘이 사는 셈이다.

독일·일본·영국·호주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노인 가구와 1인 가구 비중이 증가하는 구조 자체는 다르지 않다. 한국의 고령화 가구의 구성비는 2022년 24.1%에서 204년 44.4%로 증가한다. 이 기간 1인 가구의 구성비는 34.1%에서 40.8%로 증가한다. 2042년 기준으로 고령화 가구 구성비는 일본보다 조금 낮고 영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같은 시기 1인 가구 구성비는 독일·일본보다 낮고, 영국·호주보다는 높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다만 노인·1인 가구의 증가 속도는 가파르다. 2022년부터 2042년까지 한국의 고령화 가구 구성비는 20.3%포인트 증가했는데 이 기간 주요국은 4.6~6.9%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1인 가구의 비중은 한국이 6.7%포인트 증가한 데 반해 주요국은 1.1~4.9%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가구 수가 감소세로 전환한다는 점도 다르다. 총 가구는 2022년 2,166만 가구에서 2041년 2,437만 가구까지 늘다가 2042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해 2052년에는 2,327만7,000 가구로 감소한다.

출생아 감소·고령화 속도 모두 예상보다 가팔라

인구 추계에 따르면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 속도가 기존 전망보다 훨씬 빠르게 악화일로를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통계청이 발표한 역대 ‘장래인구추계’를 살펴보면, 국내 인구 감소세는 정부의 기존 예측이 번번이 빗나가며 갈수록 가팔라졌다. 예를 들어 2011년 ‘2010~2060년 인구 추계’가 추산한 2022년 출산율은 1.37명이었다. 당시 비관적 시나리오가 제시한 저위추계는 1.00명이었는데, 지난해 실제 통계청이 내놓은 2022년 출산율은 0.72명에 그쳤다.

2010~2060년 인구추계에서 예상한 2022년 출생아 수는 중위 추계 45만명, 저위 추계 32만명이었다. 2015~2065년 인구추계에서는 2022년 중위 추계를 41만1,000명으로 이전 추계보다 하향 조정하고, 저위 추계는 35만1000명으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6,000명에 그쳤다. 2010∼2060년, 2015∼2065년 인구 추계가 제시한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각각 8만명, 11만명가량 낮은 수치다.

반면 고령화 추세는 예상보다 급속히 진행 중이다. 2010~2060년 인구추계에서 2022년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저위 추계 17.1%, 중위 추계 17.2%, 고위 추계 17.3%로 각각 예측됐다. 2015~2065년 인구추계에서는 2022년의 65세 이상 비중으로 중위·저위 17.2%, 고위 17.1%를 내다봤다. 하지만 지난해 65세 이상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4%로 나타났다. 고령화 속도가 고위추계치보다 더 빨리 진행된 셈이다.

지자체 절반 초고령사회 진입하며 지방소멸 위기

지방의 고령화 속도는 더욱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7년(2015∼2022년)간 전국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연평균 0.677%포인트씩 높아졌다. 시도별로 보면 부산이 0.968%포인트로 가장 빨랐다. 이어 울산 0.839%포인트, 대구 0.807%포인트, 강원 0.791%포인트, 경북 0.789%포인트, 경남 0.774%포인트 순이었다. 노인 인구 비율이 줄어든 시도는 세종(-0.04%포인트)뿐이었다.

읍면동 단위에서 고령화 속도는 면 지역이 0.81%포인트로 가장 빨랐다. 이어 동 지역 0.69%포인트, 읍 지역 0.58%포인트씩 증가했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역은 2015년 33.2%에서 2022년 51.6%로 증가해 절반을 넘겼다.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의성(44.7%)이었다. 전남 고흥(43.0%), 경북 군위(42.6%), 경남 합천(42.0%), 전남 보성(41.6%), 경북 청송(40.6%), 경북 영양(40.2%), 경북 봉화(40.1%) 등도 고령화 비율이 40%를 넘었다.

지방소멸 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절반이 넘는 121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통계청이 발표한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하는데 20~39살 여성 수를 65살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상대 비율로 산출한다. 가임기 여성이 감소할수록 비율이 낮아지는데 낮음(1.5 이상), 보통(1.0∼1.5), 소멸주의(0.5∼1.0), 위험진입(0.2∼0.5 미만), 고위험(0.2 미만) 등 5단계로 나누고 이 중 위험 진입과 고위험 지역은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전국 시군구 중 중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상주시로 조사됐다. 17개 시도 중에는 전남이 가장 소멸 위험이 높은 곳은 나타났다. 전남은 전체 22개 시·군 중 18곳이 소멸위험지역이었다. 목포시(0.56)와 순천시(0.69), 광양시(0.71), 무안군(0.60) 등 4곳은 제외됐고 시 단위 지역에서는 여수(0.46)와 나주(0.47) 2곳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고흥(0.1), 신안(0.11), 보성(0.12), 함평(0.13), 구례(0.14) 등 11곳은 소멸 고위험지역에 포함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