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프닝 효과? 中 2분기 경제성장률 6.3% “축배 들기엔 일러”
한은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6.3%, 공업생산이 주도” 역성장한 물가, 디플레이션 위협 암시 재정난 시달리는 중국 정부, 대응책은 있나
중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이 6.3%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성장률로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를 벗어나 리오프닝(경기 재개) 효과를 거두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극도로 침체했던 최근 2년간의 중국 경제를 감안하면 시장의 전망치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성적일뿐더러,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GDP가 크게 오른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 2/4분기 경제성장률’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된 이번 보고서는 중국의 GDP 성장률을 비롯해 산업별 성장률, 주요경제지표동향, 현지 평가 및 전망 등을 담았다.
공업생산 성장할 때 소매는 주춤, 투자는 뒷걸음
중국의 2023년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6.3% 오르며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개선됐음을 보여줬다. 1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0.8% 오르며 올해 상반기 전체 성장률은 5.5%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이 3.7% 성장하며 직전 분기와 같은 성장세를 보였고, 2차 산업(3.3%→5.2%)과 3차 산업(5.4%→7.4%)은 모두 상승 폭을 키우며 리오프닝 효과를 드러냈다.
6월 주요 경제지표 움직임에서는 공업생산(3.5%→4.4%) 분야의 성장세가 전월보다 확대된 반면, 소매판매(12.7%→3.1%)와 투자(누계기준, 4.0%→3.8%)는 둔화했다. 공업생산의 성장세는 전월까지 감소세를 보인 광업(-1.2%→1.5%)이 증가로 전환되고 제조업(4.1%→4.8%), 전기가스수도업(4.8%→4.9%) 등이 성장폭을 키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비스업 생산(11.7%→6.8%)이 상승 폭을 줄이긴 했지만, 다른 공업들보다 여전히 큰 상승률을 나타냈다.
소매판매에서는 상품판매(10.5%→1.7%)와 외식업판매(35.1%→16.1%) 등 전월 크게 뛰었던 증가세가 다시 둔화됐다. 중국은 지난해 3월부터 5월까지 주요 대도시에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이 보이자 도시를 봉쇄하는 등 모든 경제활동이 위축된 바 있다. 2022년 5월 –6.7%를 기록했던 소매판매는 같은해 6월(3.1%)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후 꾸준히 상승 폭을 키웠지만 올해 6월 들어 다시 성장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투자 부문에서는 제조업 투자(6.0%→6.0%)가 유일하게 전월과 같은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했고, SOC 투자(7.5%→7.2%)와 부동산개발 투자(-7.2%→-7.9%)는 더딘 성장세를 보이거나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당초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7.1%였다. 이는 중국이 불과 1년 전까지 코로나19 확산으로 몸살을 앓았던 만큼 기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데서 비롯됐다. 하지만 미국과의 갈등으로 인한 무역에 차질이 생기며 중국은 기대한 만큼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했다.
물가가 하락하면 무조건 좋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명목 GDP 성장률보다 실질 GDP 성장률이 높다는 점이다. 통상 실질 GDP 성장률은 명목 GDP 성장률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결과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실질 GDP 성장률은 낮아지는데, 이는 지금까지의 중국 경제 성장률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 반면 2022년 4분기의 사례처럼 명목 GDP 성장률(2.9%)과 실질 GDP 성장률(2.9%)이 같은 수치를 기록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물가상승률이 ‘0’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렇다면 이번 2분기처럼 실질 GDP 성장률(6.3%)이 명목 GDP 성장률(4.8%)보다 높은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는 물가상승률이 음수일 때만 가능하다. 즉 물가가 역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고 불리는 이같은 현상은 단순 경기 불황을 의미하는 디프레션(Depression)과는 엄격히 구분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부동산 등 대형 자산은 물론 전반전인 소비자 물가가 하락하며 화폐의 가치가 올라간다. 동일한 금액으로 디플레이션 전보다 더 많은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얼핏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물가 하락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구매를 최대한 미루는 경향이 있다. 구매 후 상품 가격이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떨어지는 칼’을 잡지 않으려는 이유에서다. 소비 활동이 줄어들면 상품의 재고는 쌓이고 생산은 감소한다.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는 상품이 점점 늘어나고, 결과적으로 실업률까지 증가하며 경제 시스템은 무너지게 된다.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손쓸 방법 없는 중국 정부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가 디플레이션 발생 조짐이 보이면 화폐 유통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국민들의 소비를 장려했다. 하지만 지금 중국 정부는 그럴 만한 여력이 없다. 지난 4월 기준 중국 지방정부의 채무 규모는 37조 위안(약 6,500조원)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하기 직전인 2019년 12월(21조 위안-약 3,700조원)과 비교했을 때 60%가량 뛰었다. 이런 상황에서 무리한 대규모 경제 부양책을 동원하는 것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더 큰 재정난을 앞당기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되는 통화 팽창 정책도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통화 팽창 정책은 금리를 인하하는 방식으로 은행에 묶인 자금이 시장에 풀리도록 유도하는데,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일제히 금리 상승 기조를 유지하며 위안화 유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 일각에서는 실질 GDP 성장률로 대표되는 경제 성장률이 두드러지는 만큼 코로나19 락다운(Lock down, 공공 부문 폐쇄)의 여파를 완전히 떨쳐냈으며 이제 본격적인 성장만을 남겨두고 있다는 희망찬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축배는 이르다. 물가 안정 이면에 숨겨진 역성장과 각종 수요 약화를 암시하는 경제지표, 3개월 연속 20%를 웃도는 청년 실업률 등을 봐야 한다. 팬데믹의 진짜 후폭풍은 지금부터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