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315억원 투입해 미래차 인재 3,735명 양성” 업계에선 “현장에 필요한 인재교육 절실”
산업부 ‘미래차 인력양성사업 추진계획’ 발표 “2030년 3만 양성” 계획 시동 소프트웨어, 정비, 안전, 전장화, 부품 등 각종 분야 ‘맞춤형’ 지원 “현장과 동떨어진 지원” 우려 여전… ‘보여주기식’ 꼼수 여전한 대학교육 혁신해야
정부가 올해 미래자동차 핵심 인재 3,735명 양성을 위해 315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래차 인력양성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를 집중 육성하는 데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 명을 포함한 핵심 인재 3만 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이 계획에 따라 올해 인력양성사업을 대폭 확대했다. 융합형 인재 양성,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등 3개 분야에 초점을 맞춰 지원사업을 벌인다.
정부는 먼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바뀌는 자동차산업 추세에 따라 20개 대학교에서 자동차 SW 및 심화 교육을 실시한다. 미래차 사업재편을 지원하기 위해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에 차량용 소프트웨어 과목도 추가하기로 했다. 또한 오는 10일 ‘미래형 자동차 자율주행 SW 경진대회’를 열어 대학생들이 SW 기술 역량을 쌓을 기회를 마련하기로 했다.
A/S(사후서비스)나 정비와 같은 기능 인력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현장 맞춤형 인력도 양성한다. 지난해 17억원에서 올해 39억원으로 관련 예산을 2배 이상 확대해 2,080명 양성을 목표로 세웠으며, 정비 분야에서 관련 협회 등의 단체와 협력해 강사 인력도 늘릴 예정이다.
전기차를 다루는 현장 인력의 안전을 위한 교육도 강화한다. 특히 최근 늘어난 전기차 화재에 대한 안전 대응을 위해 군·소방 등 공공분야 고전압 안전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교육부와 협력해 20개 대학에서 학사급 전문 인재 960명을 양성하기로 하고, 미래차 보안 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도 추진해 자동차 보안 분야 인력을 키우기로 했다.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 등 미래차 분야로 산업이 전환하는 추세에 발맞춰 기업이 원하는 인재도 발굴한다. 예를 들어 전동화나 전장화 같은 분야나 핵심부품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부와 협력해 미래차 분야에 적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마련하고, NCS 기반의 산업별 역량체계(SQF)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R&D 분야 예산도 기존 4,347억원에서 4,994억원으로 확대한다.
이번에 발표한 신규사업은 시행계획 공고와 수행기관 선정평가를 거쳐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다음 달 서울, 대구, 광주에서 사업설명회를 열고 구체적인 사업운영 방향과 지원내용, 지원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업계에선 “인재 절실”… 현장에서 활약할 맞춤형 인재 길러내야
산업부의 ‘산업기술인력전망’에 따르면 미래차 분야에 필요한 산업기술인력은 오는 2030년 10만7,551명으로 추산된다. 이는 2020년 7만2,326명보다 3만여 명 많은 규모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2021년부터 연평균 4.0%씩 늘어나고 있어, 늘어나는 인력 수요에 맞춘 정책을 강화한 것”이라 설명했다. 분야별로 스마트자동차 분야는 2020년 9,860명에서 2030년 1만6,139명으로 가장 큰 폭(연평균 5.1%)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친환경 자동차 분야도 5만9,289명에서 8만6,784명으로, 인프라·서비스 분야에선 3,177명에서 4,628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차 분야에서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산업부는 현재 1만 명 수준의 인력양성 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7년까지 총 1,053억원을 투입하면서 2030년까지 3만 명의 미래차 전문 인재를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영역에서 미래차 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출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의 기술 수요를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곧바로 일할 수 있도록 인턴십이나 산학연계 프로젝트 등 기업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성 강화 교육이 필수라는 지적이다.
달라지지 않는 교육현장…”과목 그대로인데 이름만 바꿔치기” 현실 바꿔야
대학에서 운영하는 학위과정으로 정책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높다. 예컨대 지난해 산업부는 미래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형 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양성” 사업을 주관할 15개 대학을 선정했다. 교육부와 산업부가 함께하는 부처협업형 인재양성사업으로 2024년까지 3년간 총 343억원을 투입하는 해당 사업에 35개 대학이 지원했다. 일각에서는 “학사급 졸업자들이 전문 인재로 거듭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미래차 지원이 아닌, 사실상 대학 지원사업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높다.
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 대기업들이 대학과 손잡고 인재 양성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처럼, 미래차 업계도 이러한 인재 양성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정부 주도로 대학들만을 지원할 것이 아니라, 기업과 손을 잡고 맞춤형 교육이 가능한 학과를 대학에 설립하고 채용을 전제로 장학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 내에서 자율주행차 등 자동차 신기술에 대해 배우는 공학 과목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예컨대 일반 자동차공학과가 개설한 과목은 자동차공학개론·열역학·자동차설계 등 30여 가지에 달하지만, 신기술 관련 공학 과목은 한두 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산업계 관계자는 “실제 대학교육현장에서 기업이나 산업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과목들이 대부분”이라며 “교육 내용은 그대로인데 학과 이름만 바꾸거나, 같은 과목인데 ‘AI’ ‘자율주행’ ‘미래차’ 같은 그럴듯한 이름만 갖다 붙여 포장하는 현실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