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휩쓴 ‘치사율 30%’ 전염병, 대응 시기 놓치면 또 팬데믹이다?

160X600_GIAI_AIDSNote
일본 전역에서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확산 조짐
"아직까지는 확산 초기" 차후 방역 대처에 이목 집중돼
전염병 대규모 확산 예방책은 '적절한 초기 대응'
japan_disease_20240320

일본에서 치사율 30%의 박테리아 감염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최근 일본 전역에서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 급증했으며, 일본 보건당국이 원인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심각하고 급작스러운 형태의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의 확산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요인이 많다”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엔데믹 전환 이후 환자 발생 급증

국립감염병연구소가 발표한 잠정수치에 따르면, 지난해 보고된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감염 사례는 941건 수준이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지난 2개월 동안 보고된 사례만 378건에 달한다. 일본 47개 현 중 2개 현을 제외한 모든 현에서 감염자 발생이 확인됐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 사이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진단을 받은 50세 미만 65명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21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의 일반적인 발병 원인은 화농성 연쇄구균이라는 박테리아다. 연쇄구균A로 알려진 해당 바이러스는 주로 어린이에게 목 통증을 유발한다. 대다수의 성인은 감염 사실도 인지하지 못한 채 지나가는 ‘위험성이 낮은’ 바이러스라는 의미다. 하지만 감염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강한 일부 박테리아의 경우, 30세 이상의 성인에게 심각한 질병과 합병증을 안겨줄 수 있다. 특히 노인의 경우 드물게 패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폐렴, 뇌수막염 등을 겪게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장기 부전과 괴사 끝에 사망하게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감염 사례 급증한 배경으로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을 지목한다. 팬데믹 이후 각종 격리 조치가 해제되며 바이러스 확산에 속도가 붙었다는 것이다. 기쿠치 켄 도쿄대학교 의대 교수는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 급증하는 상황이 매우 우려된다”며 “코로나19 격리 해제로 인한 화농성 연쇄구균 감염 증가가 가장 중요한 (사태 발생) 요인이라고 본다”며 “정기적인 손 소독, 감염병 예방을 위한 기본적인 조치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여행 계획 어쩌나” 차후 방역 조치는

일본 내의 감염병 확산은 국내에도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했다. 이어지는 엔저 기조의 영향으로 일본 여행을 계획하는 한국 관광객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1월 일본에 방문한 한국인은 자그마치 618만 명에 달한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일본 관광객의 27.7% 수준이다. 차후 일본 여행을 계획했던 한국인들은 차후 각국의 보건·방역당국이 내놓을 조치에 촉을 곤두세우고 있다. 입국 제한 등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와 유사한 수준의 방역 조치가 시행될 경우, 기존의 여행 계획이 통째로 무너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일각에서는 아직 바이러스 확산 초기인 만큼, 각국이 오히려 더 강력한 방역 조치를 내놓을 것이라는 분석도 흘러나온다. 실제 수년 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각국의 연구진들은 감염병 확산 초기에 여행을 제한해야 한다는 분석을 속속 내놓은 바 있다. 2020년 독일 베를린 사회과학센터(WZB Berlin Social Science Center)는 180개국 이상에서 발생한 여행 제한과 사망률을 조사, 10명 이하의 사망자를 기록했을 때 도입한 여행 제한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여행 제한이 늦어질수록 방역 효과가 낮아진다는 것이다.

covid_19_earth_20240320

높은 치사율 역시 방역 조치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세계보건기구(WHO)는 여행 금지에 대한 “위험 기반” 접근법을 권고한 바 있다. 각국이 여행 제한을 검토할 때 사회적 면역력의 수준, 변이의 확산 정도, 위험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 베를린 사회과학센터는 위협이 될 수 있는 특정 국가를 지정해 입국을 제한하는 것이 모든 외국인 여행자의 입국을 포괄적으로 제한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사망 위험이 큰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 확산하고 있는 일본은 사실상 최대 경계 대상이라는 의미다.

미흡한 초기 대처가 팬데믹 유발해

일부 전문가는 일본의 초기 대처가 미흡할 경우 코로나19의 뒤를 잇는 ‘팬데믹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진단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초기, 미흡한 대처로 상황을 악화했던 중국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첫 번째 감염 환자로 알려진 이는 2019년 12월 1일 병에 걸린 70대 중국인 남성이다. 이후 발생한 환자 중 상당수가 우한의 야생동물 시장과 연관돼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고, 의사들은 해당 질환인 일반적인 폐렴이 아닐 수 있다는 의구심을 품기 시작했다.

이후 예비조사 결과 사스와 유사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존재가 확인됐고, 현지 보건당국에 해당 바이러스의 존재 사실이 즉각 전달됐다. 문제는 이 같은 사실이 일반인들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노스이스턴대학 연구진은 당시 2,300명에서 4,000명 사이의 사람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것이라 추정한다. 당국의 대응이 늦어진 며칠 사이에 확진자가 두 배가량 증가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제법은 새로운 전염병의 발생이 확인될 경우 WHO에 24시간 이내에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2020년 1월 1일까지도 WHO는 중국에서 발생한 전염병에 대해 대한 공식적인 통보를 받지 못했다. 이틀 뒤, 중국은 WHO 측에 “원인을 알 수 없는 44건의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가 발생했다”는 모호한 입장을 전달했다. 미흡한 대처로 우한 지역 내 병원이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음에도 불구, 이 같은 사실을 감추며 방어적 태도를 취한 것이다.

중국 정부가 정보를 은폐하는 사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세계 각국으로 번져 나갔다. 미흡한 초기 대응이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의 원흉이 된 셈이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전문가들은 차후 일본 측이 반드시 적절한 초기 대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 이어진 엔저 기조로 전 세계의 관광객 수요가 일본에 집중됐던 만큼, 차후 전염병 초기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