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제친 화웨이, 중국서 점유율 1위? 중국 기술 자립 움직임에 애플은 ‘대략난감’
미국 제재에 기술 자립 시작한 중국, 화웨이도 독자 OS 구축 나섰다
중국 시장서 점유율 1위 달성한 화웨이, 중국 의존도 높은 애플 어쩌나
중국, 차보즈 기술 21개서 자립 성공 "애플 잠재 리스크 가시화"
미국의 강도 높은 기술 제재에 독자 스마트폰 운영체제(OS) 구축에 나선 화웨이가 중국 시장에서 애플의 iOS를 사상 처음으로 제쳤다. 미국의 대중 제재가 중국의 발전을 억누르는 ‘차보즈 기술’의 개발로 이어져 테크 굴기를 가속화하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차보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자”고 강조하면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차보즈는 외부 의존이 심해 기술 자립을 막는 핵심 기술을 뜻하는 말이다.
화웨이, 중국 시장서 애플 제쳤다
22일 중국의 시장조사 업체 BCI리서치에 따르면 화웨이는 1분기 중국에서 총 1,058만4,000대를 출하해 15.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점유율 17.1%로 중국 시장 1위였던 애플은 1,056만9,000대(15.5%)로 화웨이보다 1만5,000대가량 뒤지면서 4위까지 밀렸다. 1위는 1,155만8,000대(16.9%)를 출하한 비보(IQOO 포함), 2위는 1,074만 2,000대(15.8%)의 아너다. 아너는 화웨이에서 분사한 스마트폰 제조사다.
화웨이의 약진은 여러 면에서 의미가 크다. 자체 OS의 시장 확대와 직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화웨이의 자체 OS인 ‘하모니’는 중국 OS 시장에서 안드로이드(68.9%)에 이어 2위로 뛰어올랐다. 미국 제재로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할 수 없게 된 화웨이는 2021년부터 하모니를 개발해 모든 제품에 사용하고 있다.
독자 OS인 IOS를 사용하는 애플과 마찬가지로 화웨이도 자사의 스마트폰 점유율이 곧 하모니 점유율과 연결된다. 화웨이는 1분기 안드로이드 기반 앱을 지원하지 않는 차세대 운영체제 ‘하모니 OS 넥스트’를 출시하기로 하는 등 차별화된 독자 생태계 구축을 시도할 방침이다.
‘차보즈 기술’ 자립화 성공한 중국, 미국 그늘 벗어나나
특히 중국은 반도체 분야 등 다양한 방면에서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실제 중국과학원은 지난해 “2018년 차보즈 기술로 선정된 것 중 상당수에 대해 기술 자립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당시 차보즈 기술에 선정된 건 △광각기 △네크워크 시스템 △칩 생산기술 △촉각 센서 △진공 증착기 △항공 재료 △초정밀 연마 공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첨단 베어링 강철 △밀링 커터 등 총 35개다. 이중 △광각기 △포토레지스트 △iCLIP (의약품 개발에 쓰이는 핵심 기술) △밀링 커터 등 14개를 제외한 21개 기술에서 자립적 성과를 내는 데 성공했다는 게 중국과학원의 설명이다.
중국과학원은 아직 자립을 이루지 못한 광각기 분야 대해서도 꾸준히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중국 광각기 제조업체인 상하이마이크로는 기존 90nm(나노미터)급 제품을 기반으로 28nm급 4세대 광각기 제품을 개발하고 중국 최초의 SSA/800-10W 광각기 설비를 출시할 예정이다.
포토레지스트 분야에 대해선 “ArF 포토레지스트 및 EUV 포토레지스트 분야에선 아직 선진국과 비교해 기술 격차가 크지만 베이징커화, 화무테크놀로지 등 KrF 포토레지스트 양산 능력을 확보한 자국 기업은 이미 있다”고 말했다. 중국 차원에서 기술적 자립 성공 가능성에 자신을 내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칩스법 등을 통해 미국이 대중 제재를 강화하는 와중, 중국이 ‘과학기술 자립자강’에 성공하면서 미국의 그늘을 벗어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높은 중국 의존도, 애플의 ‘뇌관’ 될까
중국의 자립 가능성이 가시화하면서 시장에선 향후 미국의 손해가 가중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간 애플이 중국에 묶여 있는 양상을 자주 보여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 기기의 주 소비처는 중국이었다. 실제 2022년 3분기까지 애플의 누적 총매출은 2,825억 달러(약 390조원)를 기록했는데, 이 중 중화권에서 거둔 수익이 583억 달러, 비중으로는 19%에 달했다. 미주 지역(1,165억 달러)과 격차가 꽤 있지만 규모가 큰 유럽(685억 달러)에 거의 근접한 수치인 데다 단일 국가로선 이례적으로 큰 매출액이다. 중국 내 애플 비중 감소가 애플에 더욱 뼈아프게 다가올 수밖에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애플의 1년 매출을 좌우하는 아이폰 신제품 생산을 대부분 중국이 맡고 있다는 점도 악재다. 미중 갈등 심화에 따라 중국이 공장 가동에 추가적인 제동을 걸면 아이폰 시리즈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애플의 수익 중 절반 이상이 아이폰에서 나오는 걸 감안하면 이는 애플에 직격타가 될 것이 뻔하다. 이에 애플은 아이폰 생산 기지를 인도로 점차 옮겨가겠다는 입장이지만, 지난해 기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비율은 여전히 14%에 불과하다. 중국이 기술 및 제품 자국화를 본격 시행하면서 애플의 잠재 리스크가 뇌관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거듭 쏟아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