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돌아오면 중국 ‘메가톤급’ 타격, 경제 반토막 날 수도

160X600_GIAI_AIDSNote
스위스 투자은행 UBS, 트럼프 당선 시 중국 GDP 절반 깎여
독일 8년 연속 최대 무역국 '중국', 높은 의존도에 불안 가중
배터리·태양광 글로벌 관세전쟁에 한국 공급망 차질 전망도
Donald Trump PE 20240717 0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인스타그램

올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승리할 경우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이 절반 이상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가 올해 초 예고한 대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 경제가 직격탄을 맞는다는 것이다.

트럼프 재집권하면 중국 경제 타격 불가피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투자은행 UBS의 왕 타오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이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5% 포인트 깎일 것으로 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올해 초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의 고정 관세를 부과해 중국산 제품의 미국 시장 접근을 막겠다고 경고해 왔다. UBS는 미국의 관세 부과 후 중국이 일부 상품을 제3국을 통해 우회 수출하고 보복관세는 부과하지 않는 것, 제3국들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동참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했다.

UBS 연구진은 이 같은 성장률 하락의 절반은 수출 감소에서 비롯되며 나머지는 소비와 투자에 대한 타격 때문에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왕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경제활동을 통한 수출과 생산이 잠재적으로 더 많아지면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다른 국가들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 정부가 급격한 관세 인상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재정 부양책을 내놓고 통화정책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런 자금조달을 위해 특별 국채를 발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이 보복 조치할 경우 수입 비용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만큼 관세의 영향이 오히려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무역전쟁이 발발할 경우 위험과 불확실성이 높아져 미국에 대한 수입업자들이 시장을 이탈할 수 있다고도 했다.

수출은 중국의 핵심 성장동력이다. 중국의 순 수출은 지금까지 성장률의 14%를 차지하며 지난달에는 무역 흑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6월 중국의 달러 기준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6% 늘면서 1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6월 중국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3% 줄어들었다.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로 6월 중국의 무역흑자는 시장 예상치인 850억 달러(약 117조원)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990억5,000만 달러(약 137조1,800억원)에 달했다.

중국만 믿다가 망한다, 독일 비상

이에 중국 무역 상대국들의 불안도 고조되고 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미국, 유럽연합(EU)의 대중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나라가 독일이다. 독일은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연속 독일의 최대 무역 상대국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두 나라의 무역 규모는 2,710억 달러(약 375조원)였으며, 이 가운데 독일의 대중국 수출 규모는 1,040억 달러(약 143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독일의 대중국 수입 규모가 전년보다 36.5% 급증하는 동안 대중국 수출 규모는 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국이 대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공급망 자급자족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독일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중국 경제에서 독일의 비율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앞서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에 따라 독일이 수혜국이 될 것이란 예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 종료 이후에도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차이나 쇼크’가 현실화했다. 특히 독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에 필요한 원자재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대중국 의존도 낮추기가 시급한 해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독일 업계에서는 독일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는 데는 수십년이 소요될 것이란 회의적 목소리가 나온다. 독일의 대표적인 전자·기술 기업 지멘스의 랄프 토마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4월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 타임스 인터뷰에서 “독일 제조업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몇십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세계 가치 사슬을 구축하는 데 지난 50년이 걸렸다”며 “이것이 6~12개월 사이에 바뀔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얼마나 순진한가?”라고 반문했다.

tariff china america PE 20240717 002

관세전쟁 한복판, 핵심소재 의존도 높은 한국 성장률도 우려

독일에 이어 한국 경제도 고령화와 생산성 저하로 잠재성장률이 하락 추세에 접어든 가운데 중국발 충격이 가세하면서 내우외환의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한국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배터리·희토류 소재의 40~80%를 여전히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관세 폭탄으로 성장률이 꺾일 경우 그 여파는 고스란히 우리나라에도 미칠 공산이 크다.

중국 정부의 대미 보복 조치가 공급망 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배터리와 태양광 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밸류체인)에서 중국 기업들은 원료와 소재, 완제품 대부분의 영역을 다루고 있다. 이 가운데 원료와 소재에서 중국 기업 영향력은 상당히 높다. 더욱이 배터리 산업에서는 단기 중국 원료와 소재 의존도를 낮추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중국 정부가 지난해 흑연 수출 통제 지침을 발표했을 때 국내 배터리 셀·소재사들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현재로서는 중국 수출 통제가 실효적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지만, 중국 정부가 배터리 소재를 무기화할 경우 국내 기업들은 언제라도 치명적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