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투자개발사업’ 500억 달러 수주 목표, 공공기관 체급 키워 건설사 지원한다

160X600_GIAI_AIDSNote
국토교통부, 민관 합동 해외투자개발 추진
K신도시 1호로 베트남 동남 신도시 유력
4,400억원 규모 모태펀드 조성도
KIND SK PE 001 20240724
KIND·한국도로공사·SK에코플랜트 등이 개발한 카자흐스탄 알마티 순환도로/사진=SK에코플랜트

정부가 해외 투자개발 전문기관인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의 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건설업계에서는 긍정적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는 KIND 투자 규모 한도가 적어 민간기업이 발굴한 사업에 편승하는 데 그쳤는데, 앞으로는 대주주로 사업을 주도할 수 있게 된 만큼 건설사들의 자금 부담이 줄고 리스크도 줄어들 것이라는 평가다.

KIND 자본금 확충, 지분 투자 비중 30→50%

23일 정부 부처가 합동 발표한 ‘해외투자개발사업 활성화방안’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의 사업주도권 확보를 위해 현재 최대 30%인 KIND의 지분투자 비중을 50%로 확대했다. 또 현재는 불가능한 대주주로서의 해외 투자개발사업 참여도 허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투자요건도 시공수주 위주에서 기자재, 차량 등 유관산업의 동반진출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도록 개선하고 국내 건설사의 지분 투자금 회수(엑시트) 후 재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KIND의 지분인수도 허용했다.

그간 건설사들은 수십년이 소요되는 해외 투자개발사업 특성상 단기 엑시트가 어렵다는 점이 사업 참여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라고 지적해 왔다. 이런 가운데 KIND가 해외투자개발사업 건설 후 운영 중인 자산을 인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건설사들도 신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재원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A 건설사 관계자는 “대부분의 건설사는 CEO 체제라 회사 경영을 담당하는 CEO 임기 안에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에 빨라도 신규 투자에 10년, 운영에 20~30년이 걸리는 해외투자개발사업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또 기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자금을 많이 투입해 놓은 만큼 해외투자개발사업을 발굴하는 데 필요한 리스크 조사, 예비타당성조사, 지분 투자 자금 등을 조달하는 데 여력이 넉넉지 않은 상황인데 KIND에서 자금 지원을 늘리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IND SK PE 002 20240724

단순 도급사업에 그친 해외 수주, ‘투자개발사업’으로 수익성 극대화

투자개발사업은 사업 참여자가 기획·개발, 금융조달 및 시공, 운영·관리 등 사업 전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발생하는 손익을 지분에 따라 분배해 수익률이 높다. 특히 건설사뿐 아니라 발전사, 도로공사, 기자재 업체, 금융회사 등 사업 전반에 걸친 수주가 가능해 전·후방 파급 효과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 기업의 해외 수주는 발주처가 원하는 대로 건물·교량 등을 짓는 ‘단순 도급사업’에 94.7%(2019~2023년 평균)가 쏠려 있다. 업계에 따르면 투자개발사업 수익성은 10%대로, 3~5% 수준인 도급 사업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국토부는 투자개발사업 수주 기회 확대를 위해 높은 대외 신인도와 정부 협상력을 가진 공공기관을 전면에 내세운다는 계획이다. 우선 정상외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전략 국가 및 프로젝트를 선정 후 매년 투자개발사업 지원계획을 마련한다. 예컨대 철도공사와 도로공사, 공항공사, 주택공사 등 전문 공공기관이 민관합동 진출 전략을 새로 수립해 민간 연계방안 등을 마련하고, 초기부터 기본계획 수립과 설계·자문 등 노하우를 지원해 진출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 기준에 ‘해외투자개발사업’ 내용을 반영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공공의 투자개발사업 참여 촉진을 유도할 예정이다.

또 KIND의 투자요건도 개선해 현행 ‘시공 수주’ 위주에서 ‘기자재·차량 등 유관산업의 동반진출 효과’ 등을 투자 시 함께 고려하도록 했다. 아울러 정책적 금융 지원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1조1,000억원 규모 PIS(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2단계 펀드를 연내 조성해 내년부터 투자를 시작할 방침이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각각 1,100억원, 3,300억원을 출자해 총 4,400억원 규모의 모태펀드를 마련, 이를 기반으로 내년 6,600억원 규모 민간투자를 받을 예정이다.

베트남 판교신도시 ‘박닌성’ 등 ‘K-신도시’ 수출에도 박차

국토부는 건설사들의 ‘K-신도시’ 수출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정부 간 협력 기반으로 민관 공동사업을 진행하는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UGPP)’을 추진키로 했다. 전문 공공기관이 디벨로퍼로서 먼저 사업을 발굴한 뒤, 민간 건설사가 지분 투자와 시공 수주를 추진하는 방식이다. 이후에는 공공기관이 개발, 준공, 입주까지 기업을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베트남 박닌성 일대에 판교 신도시 규모를 조성하는 ‘박닌성 동남신도시’ 사업이 도시 수출 1호 프로젝트가 될 전망이다. 베트남 UGPP를 체결한 △박닌성 띠엔 주현지구 △흥옌성 리트엉켓 도시구역 △타이빙성 도시 △산단 개발 등 4개 중점 추진 지구에 대해서도 공공기관 주도로 3만~5만 가구 규모의 신도시 프로젝트가 골자다. 국토부는 대통령의 순방외교 효과로 우리나라가 사업시행자에 지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또 이르면 내년부터 건설사들의 ‘역량’을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인 시공능력평가에 해외투자개발사업 실적을 포함키로 했다. 아울러 건설·투자 뿐 아니라 IT·스마트팜·제조업 등 타 산업 분야와 동반 진출할 수 있도록 공동 수주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역량에 걸맞게 고부가가치 상위시장인 투자개발사업 분야 진출을 확대할 시점”이라며 “공공의 적극적 역할 및 민간과 함께 참여하는 선단형 수주를 통해 K-신도시 수출 등을 활성화하고, 국정과제인 2027년 해외 건설 수주 500억 달러(약 69조2,000억원) 달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