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확률 높다” 긴장감 감도는 韓 산업계, 배터리·반도체 ‘희비교차’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확률 50% 웃돌아
AMPC 등 美 친환경 지원금 의존도 높은 K-배터리, 실적 타격 우려
디커플링 전략 따른 강력한 대중국 규제 예상, 반도체 업계엔 '호재'
미국 대선이 약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을 점치는 조사 결과가 잇달아 발표되고 있다. 국내 산업계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시 닥쳐올 시장 변화에 촉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론조사 우위 점한 트럼프 전 대통령
22일(현지시간)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대선 결과 예측 모델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률이 54%라고 밝혔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 힐과 선거 전문 사이트 디시전데스크HQ(DDHQ)의 대선 결과 전망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확률은 52%로 집계됐다. 이에 더해 의회 상원 선거에서도 공화당이 민주당을 앞지를 가능성이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할 시 의회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제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확률이 높아지면서 국내 산업계의 셈법도 한층 복잡해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방지법(IRA)을 축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IRA는 미국에서 전기차·배터리·태양광 등 첨단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바이든 정부의 상징과도 같은 정책으로 꼽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전부터 IRA를 비롯한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부정적인 평가를 쏟아내며 에너지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AMPC 축소될라” 위기의 배터리 업계
시장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AMPC(첨단제조세액공제)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업계가 특히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AMPC는 특정 기업이 미국에서 첨단 제조 기술을 활용해 배터리나 태양광 에너지 등 친환경 제품을 생산할 때 해당 기업에 세액 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미국 정부가 첨단 기술 기업들에 제공하는 일종의 보조금인 셈이다. 배터리 생산 업체는 셀을 생산할 때 1킬로와트시(㎾h)당 35달러, 모듈을 생산할 때 1㎾h당 10달러 수준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AMPC는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사의 ‘실적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중 AMPC 의존도가 가장 높은 LG에너지솔루션은 AMPC 혜택에 기대 겨우 적자를 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4,48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4,660억원 규모 AMPC 혜택이 포함된 수치로, AMPC 혜택을 제외하면 3분기 영업이익은 사실상 적자(-177억원)가 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1·2분기에도 AMPC에 의존해 적자 위기에서 벗어난 바 있다. 지난 영업이익 1,953억원 중 AMPC 규모는 4,478억원으로, AMPC 혜택을 제외하면 2,525억원의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1분기 영업이익(1,573억원) 역시 AMPC(1,889억원)를 제외하면 -316억원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트럼프 집권 시 반도체는 ‘수혜’
반면 반도체 업계의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이 지난 7일 발표한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산업의 향방은 미국 대통령 후보 양측의 대중 견제 방향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쪽 모두 중국을 견제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민주당 측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첨단 전략 분야에 한정해 수출 통제를 강화함으로써 중국 성장을 견제하고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는 ‘디리스킹(de-risking)’ 전략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을 공급망에서 아예 분리하는 ‘디커플링(de-coupling)’ 전략을 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산업연구원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이 이득이 될 수 있다고 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 첨단 반도체 분야는 물론 스마트폰을 만드는 화웨이, 샤오미 등 수요 산업에도 전방위적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반도체법(Chips Act) 입안 시기가 트럼프 1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내 (반도체) 투자에 대한 보조금과 세액공제 혜택을 축소할 가능성도 낮다”며 “중국 반도체의 기술 추격을 늦춘다는 점에서 한국이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