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property_PE_20240927_002

청약통장 月 납입 인정액 상향에도 ‘무용론’ 여전

저축액 1,500만원, 10만원씩 12년→25만원씩 5년다자녀·신혼부부 특공엔 납입액보다 기간·횟수 중요높은 분양가·경쟁률, 전문가 “효과 크지 않을 것” 앞으로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에 월 25만원씩 5년 동안 꼬박꼬박 부을 경우 공공분양주택 당첨선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최대 월 10만원의 납입액으로는 1,500만원의 당첨선을 맞추는 데 12년이 걸렸지만 앞으로는 월 25만원씩 5년이면 가능해지는 것이다. 청약통장 납입 인정액 월 10만원→25만원 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raemian_Banpo_20240924

집값 상승 ‘진앙지’ 된 반포, 오 시장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검토할 것”

반포동 집값 상승세 랠리, 8월 국평 최고가 ’60억원’ 기록’플랜 B’ 언급한 서울시장, 반포 토허구역 지정되나토허제 실효성 의문 제기도, “반포는 실거주 수요도 높아” 서울 서초구 반포권역(반포·잠원동 일대) 아파트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인 지역의 투자 수요를 반포가 흡수한 영향이다. 반포권역 집값 상승세, 래미안 원베일리 60억원에 손바뀜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반포 대장주로 꼽히는…

Yeongdeungpo_PE_20240920

본 궤도 오른 신길뉴타운 재개발, 신길2구역은 삼성물산-GS건설 컨소시엄이 입찰 타진

신길1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안 수정 가결, 신길15구역도 대단지로 탈바꿈신길뉴타운 중심으로 재개발 분위기↑, 신길2구역도 재개발 ‘물살’장기간 파행 겪은 신길뉴타운 사업, 팽배한 공공개발 반대 의견이 원인 서울 영등포구 신길뉴타운을 중심으로 재개발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신길뉴타운의 완성이 가까워지자 과거 재개발이 흐지부지됐던 지역에서 재차 재개발 열기가 피어오른 영향이다. 지난 7월 시공사 선정에 실패하며 파행한 신길2구역 재개발 사업도 길이 열렸다. 공사비…

PF_20240920

“10곳 중 1곳은 구조조정” 부동산PF 옥석 가리기 속도 내는 당국, 건설업계는 ‘불만’

PF 사업장 9.7%가 구조조정 대상, 업계 불만 토로금융당국 “토담대 연체율 상승하며 평가 대상 늘었다”엄격한 평가로 급증한 경·공매 매물, 관건은 ‘소화 속도’ 금융감독원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옥석 가리기에 속도가 붙은 가운데, 당국의 사업장 평가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대주단의 평가 대비 낮은 등급을 받으며 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한 사업장이 속출하면서다. 이에 금융당국은 토지담보대출 연체율 상승에 따라…

greenbelt_20240912

12년 만에 등장한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계획, 시장·여당 반대에 ‘홍역’

정부, 그린벨트 해제 통한 주택 공급 대책 제시”장기적이고 일시적인 대책” 실효성 논란 이어져야당도 비판 목소리 합세, 입법 후속 조치 암초 부딪힐까 정부가 ‘8·8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경기 지역 그린벨트 해제 방안을 발표한 이후 1개월이 지났지만, 정책을 둘러싼 비판적 여론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시장 곳곳에서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달…

disarray_bank_PE_20240912

가계부채 옥죄기 돌입한 은행권, 전세대출 제한에 둔촌주공만 ‘대혼란’

시중 銀 4곳이 전세자금 대출 제한, 둔촌주공 수분양자 발등에 불전세자금 대출 열어 둔 하나은행, 대출 ‘쏠림 현상’ 발생 우려전세대출 대란에 분통 터뜨리는 수분양자들 “오락가락 정책으로 피해 반복”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로 불리는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이 위기를 맞았다. 은행들이 가계부채를 옥죄기 위해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을 사실상 전면 중단하면서 해당 단지 수분양자들의 자금 조달…

dsr_20240912

“주택담보대출 묶어라” 정부·은행권 규제에 가라앉은 서울 부동산 시장

위축된 서울 부동산 시장, 아파트 매물 급증정부·은행권 ‘주담대 조이기’ 통했나금융권 곳곳에서 ‘풍선 효과’ 발생, 당국 모니터링 착수 서울 아파트 매물이 급증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장에 나와 있던 ‘급매물’들이 대부분 소화되며 호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한 결과다. 정부와 은행권은 가계대출 증가세 억제를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규제책을 쏟아내며…

apartment_20240905

“현행 청약 제도 개선 시급” 거세지는 시장 비판, 정부 차원의 노력은?

“현 청약 제도, 시대상과 동떨어져 있어 비효율적” 수도권 중심의 정부 부동산 대책도 도마에 정부, 사전청약 폐지 이어 무순위 청약 제도 손질 착수 현 청약 가점 제도가 가족 형태와 인구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대상과 동떨어진 제도가 위장 전입 등의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밖에도 현행 청약 제도 특유의 비효율성, 수도권 중심의…

residence_judge_PE_20240828

부동산 시장 뇌관 된 레지던스, ‘실거주 불가’ 원칙에 수분양자-시행사 소송 전국 확산

‘대체투자 상품’으로 주목받은 레지던스, ‘실거주 불가’에 분위기 급반전우왕좌왕하는 정부에 비판 여론, “왜 분양자들이 피해 봐야 하나”건설업계서도 우려 목소리, “레지던스 사태로 시행사 파산 불거질 수도” 한때 ‘대안 주거 상품’으로 주목을 받으며 수요가 몰린 전국 10만 실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레지던스)이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뇌관으로 떠올랐다. 잔금 납부를 거부하는 계약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상환 위기를 맞은 건설업계가 얽히고설키면서 레지던스…

SEOUL_APT_PE_20240826

강남권 아파트 실거래가 고점 회복, 상급지 위주 가격 상승 흐름 이어질 듯

서울 강남구 아파트 가격 상승, 피크 가격대 복귀한강변, 신축 단지 등 ‘상급지’만 가격 상승 수혜재건축 아파트 시세 차익 기대 확산, 가격 상승세 이어지나 서울 강남권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2020년대 고점을 회복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은 가격 상승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오히려 하락하는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지 위주로만 매매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강남구 3.3㎡당…

data.iros PE 20240822

끝나지 않은 전세사기 공포, 임차권등기 신청 건수 역대 최고 수준

올해 7월까지 4만 건 육박, 지난해 대비 급증2030세대 청년들이 60~70% 이상 차지공공임대 최장 10년 무상거주 대책 내놨지만선구제 후회수 시행, 나쁜 선례로 남을 것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한 건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대와 30대가 주로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뚜렷한 전세사기 방지책이 없는 상황에서 여전히 청년들이 전세사기 위험에 노출돼 있단 점에서 우려가 커진다. 임차권등기…

HUG PE 001 20240820

다시 커지는 ‘전세 사고 공포’, 보증금 반환 보증 7월 들어 증가세 반전

HUG, 7월 보증사고 4,227억원 기록4개월 감소 후 다시 증가세로 전환상급지·하급지 온도차 뚜렷서울 빌라 전세가율 하락 추세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전세보증사고액수가 지난달 증가세로 돌아섰다. 보증사고는 올해 들어서만 3조원 이상에 달하는데, 집주인으로부터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가 다시 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진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액, 4개월 감소 후 다시 늘어 20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세보증금…

Seoel APT PE 001 20240815

“서울 부동산도 탈동조화” 상급지 고점 돌파할 때 하급지는 뚝뚝

올해 8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3년 전 比 1.7%↑1위는 용산구 8%, 강북권은 여전히 회복세 더뎌공급 부족 및 신축 선호 등 영향, 양극화 가속 이달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 가격이 3년 전 고점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산, 성동, 서초 등 서울 중심 한강변 지역은 3년 전보다 5%가 넘는 실거래가 상승률을 보였다. 한강변 지역은 상승,…

8·8 molit 001 PE 20240812

이명박 정부 이후 12년 만에 서울 그린벨트 해제, 고삐 풀린 집값 잡을까

6년간 수도권 42.7만호 공급, 수도권 신규택지 2만→8만 호공공 신축매입임대 11만 호로, 정상화될 때까지 무제한 매입’뉴타운·감세’로 공급 늘린 MB정부, 5년간 집값 13% 하락 정부가 12년 만에 그린벨트 해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고삐 풀린 집값을 잡기 위한 주택 공급 확대방안에 포함한 것이다. 정부는 이미 계획된 착공 물량 21만7,000호를 조기에 공급하고, 신규 택지 발굴 등 21만 호를 추가해…

molitP APT 001 20240809

쪼그라든 수도권 빌라 공급, 11만 가구 신축매입·6년 단기임대로 살린다

정부 ‘8.8 부동산 대책’ 발표, 빌라 매입공급 등 ‘비아파트’ 시장 촉진공공 신축매입 11만 가구 공급, 세금 감면 일몰 2027년 말로 연장생애 최초 구매 취득세 감면 및 무주택 인정 비아파트 범위 확대도 정부가 내년까지 수도권을 중심으로 11만 가구 이상의 비아파트 공공 신축 매입을 공급한다. 특히 서울의 신축 빌라 등은 공급 상황이 정상화될 때까지 LH가 아예 무제한으로…

choisangmok real esate 20240809

집값 안정화 대책으로 ‘그린벨트 해제’ 띄운 정부, 물량 부족 등 한계에 정책 실효성 도마 위로

집값 상승세에 재개발 지원 확대, 그린벨트 해제도 본격 추진업계선 회의적 의견, “그린벨트 해제 시 인근 지역 땅값 상승할 수 있어”개발 가능 면적도 제한적, 실질 가용 면적 전체 그린벨트의 약 21% 수준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그린벨트 해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정부는 서울 내 그린벨트를 해제하면 집값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eoul apartment 20240807

부동산 시장 휩쓴 ‘신축 선호’ 기조, 공급 절벽 위기 과열 조짐도

신축 매매가격지수 급상승, 입주권·분양권에는 ‘억대 프리미엄’지난해 주택 착공 물량 급감, 신축 선호 기조 한층 뚜렷해질까치솟는 물가에 얼어붙은 건설 시장, 공사비 현실화로 부양해야 부동산 시장의 ‘신축 아파트’ 선호 기조가 뚜렷해졌다.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가 눈에 띄게 치솟는가 하면, 시장 곳곳에서는 입주권·분양권 프리미엄 거래가 속출하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공사비 급등 등으로 인해 주택 공급 절벽이 가시화하며…

Seoul APT PE 002 20240801

[기자수첩] 외국인 노동력 관리 실패가 부동산 거품의 원인?

양질의 일자리 축소에도 여전히 눈높이 높은 한국 청년들에 대한 지적 이어져사무직 취업 경쟁력 없다는 사실 받아들이지 못해 현장직 일자리 부족하단 지적외국인 노동력 공급 확대 시 노동 단가 하락으로 건설 비용 감소 기대눈높이 안 낮추는 청년들 대신 외국인 노동력으로 건설업 수익성 증대 길 열어줘야 건설 현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보는 것은 이제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20240802 reconstruction

정부 “정비사업 기간 획기적으로 단축해 주택공급 확대”

기재부·국토부 등 ‘제2차 부동산 시장 점검 TF’ 개최공공주택 확대, 정비사업·인허가 규제 완화 등 논의이달 구체적인 방안 담은 ‘추가 주택공급 방안’ 발표 정부가 재개발·재건축 등 주택 정비사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와 각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를 통해 인허가를 지연시키는 규제를 찾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주택공급의 핵심 물량을 신속히 공급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는 이달…

Seoul APT PE)001 20240801

서울 입주 물량 충분하다는 정부, 실상은 ‘임대주택’ 제외하면 2만5,000호뿐

서울시 통계 근거로 “물량 충분”하다던 정부주택 공급 지표로 인허가 아닌 착공·입주 제시임대 주택 빼면 서울 입주 2만5천 가구 불과 정부가 서울 아파트값 상승의 원인으로 공급 부족이 지목되자 입주 물량 통계를 근거로 들며 충분하다고 반박했지만 시장에선 정부 통계가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내놓은 통계는 실수요자들이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시장과 동떨어진 물량이 포함돼 과다 집계됐다는 분석이다….